과학영재 초등학생들의 지적 배경 조사

  • Published : 2002.12.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ackground of the intellectual ability that consists of family environment, intellectual priority, career aims, intellectual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the students who were selected for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We performed a survey and analysis of the students at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in order to explore their learning attitudes and intellectual ability, as well as the elements that represent their attitudes. As a result of the study, I found that the students in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generally had good economic and family backgrounds that showed no significant hardship in supporting the students. The families were also highly educated intellectually. In case the talented students in Science desired to be pure scientists, they liked the Science subjects and enjoyed reading science books. It was mostly the male students that took part. As for the attitude toward intellectual ability, they expected to improve their abilities as they gained knowledge and increased their intelligence through learning, although they didn't confide with us on their intelligence quotients. There were four factors for these attitudes. They include the high expectation of them by others; confidence and ease of mind regarding the assignment; the expectation for improvement in intelligence and ability through learning; and, confidence in intelligence and positive attitude in the participation situatio

본 연구는 과학영재교육센터에 선발된 학생들의 가정 환경, 지적 선호, 장래 희망, 지적 과외 활동 등으로 구성된 지적 능력의 배경을 조사하고, 지적능력에 대한 수용 태도와 그 태도를 나타내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과학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초등학교 과학영재 학생의 가정은 대체로 경제적으로 교육을 시키는데 어려움이 없었으며, 지적으로는 높은 수준의 환경을 갖고 있었다. 과학영재 학생이 순수과학자가 되기를 희망하는 경우 이들은 과학과목을 좋아하고, 과학 책을 즐겨 읽으며 남학생일 경우가 많았다. 지적 능력에 대한 과학영재 학생들의 수용 태도는 대체로 지능에 대한 자신감은 크지 않았지만 학습을 통하여 지식이 많아지면 지능과 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태도의 요인으로 자기의 지능에 대한 다른 사람의 높은 기대, 과제 해결에 대한 자신감과 여유, 학습에 의해 지능과 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 지능에 대한 자신감과 상황 참여에의 적극성 등 4가지 요인을 정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언주(2001). 영재의 판별과 선발, 영재교육연구, 11(1), pp. 1-17
  2. 맹영임(1999). 청소년 진로의식 조사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 99-R 03
  3. 이군현(1990). 과학영재 학생에 관한 사례연구, 교육학연구, 28(1). pp. 131-144
  4. 정연태(1988). 영재아와 지도, 교육과 과학과 한평생, 서울대학교 출판부
  5. 조석희, 최호정, 김현지, 윤혜원, 권경림 (2002). 남여학생이 국제과학올림피아드 입상자가 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영재교육연구, 12(1), pp. 31-60
  6. 통계청(2001). 2000 도시가계연보, 사회통계국 사회통계과
  7. 통계청(2002). 한국표준직업분류, 통계기획국 통계기준과
  8. Heller, K. A.(2002). Identifying and Nurturing the Gifted in Math,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영재교육국제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영재학회
  9. Heller, K. A. & Ziegler, A.(1996). Gender differences in mathematics and the natural sciences: Can attributional retraining improve the performance of gifted females? Gifted Child Quarterly, 40, 200-210 https://doi.org/10.1177/001698629604000405
  10. Ziegler, A. & Heller, K. A.(2000). Conceptions of giftedness from a meta-theoretical perspective. In K. A. Heller, F. J. Monks, R. J. Sternberg, & R. F. Subotnik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giftedness and talent (2nd ed.). (pp. 3-22) Oxford: Pergamo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