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톨이 혹은 왕따 상태인 청소년 정신과 환자와 비외톨이 환자의 문제 행동 및 어머니의 양육 태도의 차이 - 예 비 연 구 -

THE DIFFERENCE OF THE BEHAVIORAL PROBLEM AND MATERNAL REARING PATTERN BETWEEN ADOLESCENT PSYCHIATRIC PATIENTS IN PEER NEGLECT OR REJECT AND THOSE IN NON-NEGLECT - A PRELIMINARY STUDY -

  • 손정우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Son, Jung-Woo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2.12.31

초록

연구 목적:정신과 치료를 받고 있는 청소년 중 외톨이 혹은 왕따인 청소년과 비외톨이인 청소년의 문제 행동 및 이들의 어머니의 양육 태도를 비교 분석한다. 연구 방법:청소년 정신과 환자 25명에게 외톨이 설문지, 왕따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이들의 어머니에게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Child Behavior Checklist, CBCL)중 8개 하위 요인, 자녀양육태도 척도(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MBRI)의 일부, 자녀에 대한 관심 척도 등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외톨이 설문지 및 왕따 설문지 점수를 근거로 15명의 외톨이-왕따 집단과 10명의 비외톨이 집단으로 나눈 뒤, 두 집단 간의 나머지 설문지 점수를 비교하였고, 또한 외톨이 설문지와 왕따 설문지의 점수와 나머지 설문지 점수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 과:1) CBCL의 8개 하위 요인(p<.05), 우울/불안 하위 요인(p<.05) 및 사고 문제 하위 요인(p<.01)에서 외톨이-왕따 집단의 점수가 비외톨이 집단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외톨이 설문지 점수는 CBCL의 8개 하위 요인(r=.516), 우울/불안 하위 요인(r=.483), 사고 문제 하위 요인(r=.651), 사회적 미성숙 하위요인(r=.517)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왕따 설문지 점수는 CBCL의 주의력 문제 하위 요인(r=.414), 사고 문제 하위 요인(r=.446), 사회적 미성숙 하위 요인(r=.53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2) 그러나, MBRI 점수 및 자녀에 대한 관심 척도 점수에서는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외톨이 설문지 혹은 왕따 설문지 점수와 MBRI 점수 혹은 자녀에 대한 관심 척도 점수 사이의 상관관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정신과 치료를 받고 있는 청소년 중 외톨이-왕따에 해당되는 청소년의 어머니는 비외톨이 청소년의 어머니보다 자녀들의 사고 문제 및 우울/불안 등의 정서적 문제를 더 높게 평가하였다. 그러나, 자녀들에 대한 양육 태도에 대해서는 차이를 두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향후 보다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The major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behavior problems and mothers' rearing pattern between adolescent psychiatric patients either neglected or rejected by peer and those who were neither neglected nor rejected by peer. Methods:Adolescent psychiatric patients(N=25) performed peer neglect scale, peer reject scale. And their mothers performed the part of Child Behavior Checklist(CBCL),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 the scale for the maternal concern about the social life of their own patients, and the scale for maternal concern about the friendship of their own patients. According to the score of the peer neglect scale and the peer reject scale,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peer neglect-reject' group(n=15) and ‘on-loneliness’ group(n=10), and compared the scores of other scales between each group. Also,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among all scales. Results:1) The scores of the part of CBCL(p<.05), depressed/anxious subscale of CBCL(p<.05) and thought problem subscale of CBCL(p<.01) in peer neglect-rejec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non-neglect group. The score of peer neglect scal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at of the part of CBCL(r=.516), depressed/anxious subscale of CBCL(r=.483), thought problem subscale of CBCL (r=.651), social problem subscale of CBCL(r=.517). And the score of peer reject scal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at of attention subscale of CBCL(r=.414), thought problem subscale of CBCL(r=.446), social problem subscale of CBCL(r=.531). 2) But, each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on the scores of MBRI, the scale for the maternal concern about the social life of their own patients, and the scale for maternal concern about the friendship of their own patient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s of peer neglect / peer reject scale and those of scales for maternal rearing pattern. Conclusion:The thought problem and depression/anxiety problem of adolescent psychiatric patients neglected or rejected by peer were estimated more higher than those of adolescent psychiatric patients neither neglected nor rejected by peer. But, from the view of maternal rearing pattern, each 2 groups seemed not to be different. Further research using more subjects will be need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