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기 외상 : 발달경로에 따른 보호 및 위험인자

CHILDHOOD TRAUMA:RESILIENCE AND RISK FACTORS ON DEVELOPMENTAL TRAJECTORY

  • 김영신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성심병원 정신과학교실)
  • Kim, Young-Shin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발행 : 2002.12.31

초록

소아기 외상이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부정적인 결과를 예방하는 resilience factor와 부정적인 결과를 더욱 증폭시키는 위험인자에 대한 지식은 이 분야의 전향적인 연구의 부재와 소아기 외상과 발달과정, 아동의 환경 등 다양한 측면들의 유기적인 관계에 대한 이해의 어려움으로 아직은 초보적인 단계이다. 이러한 소아기 외상의 연구에서의 개념적, 연구 방법론적인 어려움은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들의 결과가 일관적이지 못하고 때로는 상반적이기도 한 면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발표된 연구들을 종합하여 보면 몇 가지 중요한 공통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가 있다. 즉 사춘기 전에는 여아가, 사춘기 후나 영아에서는 남아가,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가정의 아동, 기질적인 문제가 없는 경우, 쉬운 기질, 조기 이별이나 상실의 경험이 없는 경우, 외상을 받은 시기가 어릴수록, 문제 해결능력이 좋은 경우, 높은 자존감, internal locus of control, 우수한 대처 능력, 대인 관계를 인지 할 수 있는 능력, 놀이를 할 수 있는 능력, 유머 감각이 있는 경우, 유능한 부모를 가지고 있거나 혹은 적어도 한명의 보호자와 따뜻한 관계를 맺고 있을 때, 교육 정도가 높거나 조직적인 종교 활동에 참여 하고 있는 아동들은 외상을 경험하였을 때 외상의 부정적인 결과에 대하여 resilient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기 외상의 위험 및 보호인자가 서로 독립되어 있기 보다는 상호작용을 하는 유기적인 관계이며, 각 요소가 아동의 발달 단계, 아동 자신 및 그들의 가족과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작용하고, stressor의 영향은 그 강도에 따라 다양한 작용을 보이며 일부 위험요소와 보호요소는 상대방의 효과를 상승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등 복잡한 상호 관계를 보이는 것을 시사한다. 앞으로 소아기 외상과 발달 정신병리와의 관계, 위험 및 보호인자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 및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예방 및 치료적인 개입이 가능해지기 위해서는 stress가 정상적인 신경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전적인 소인과 부모의 요인과 같은 개개인의 소인에 대한 차이점, 신경조절의 resilience 연구, 소아기 외상의 예방과 뇌의 plasticity에 관한 연구가 같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Knowledge regarding the resilience factors and risk factors of the childhood trauma on the developental trajectory is in its infancy due to the lack of prospective follow-up studies in the childhood trauma and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reciprocal interactions between childhood trauma, develop-ent and various aspects of children's environment. These difficulties in the conceptual framework and research methods in the childhood trauma are partly reflected in the inconsistencies, even controversies, of the results in the childhood trauma researches. Despite these difficulties, common aspects of the risk factors and resilience of the childhood trauma on the development can be identified from the previous studies. The resilience to the negative outcome on the development by childhood trauma includes:sex female before puberty, male after puberty or infancy), high socioeconomic status, no organic problem, easy temperament, no previous experience with early loss or separation, younger age at the trauma, better problem solving capacity, high self-esteem, internal locus of control, high coping skills, ability to identif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bility to play, sense of humor, having capable parents, having a warm relaionship with at least one of the parents, high education and participating in the organized religious activities. These commonalities of the results suggest that risk and resilient factors of the childhood trauma are interdependent, each factor has multiplicity in the impacts on the children's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 of the child, family and children's other environment, trauma and stressor have diverse effects according to their intensity and risk and resilience factors could have synergistic or antagonistic effects to each other. To develop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risk and resilience factors and to develop effective and efficient prevention and intervention, research on the effect of the stress on the neurodevelopment, on the individual differences of the response to the trauma including genetic factors and constitution, and on the brain plasticity should be accompanied in the futur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