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기 외상의 정신과적 개관

CHILDHOOD TRAUMA:PSYCHIATRIC OVERVIEW

  • 한성희 (국립서울병원 소아청소년 재활치료과)
  • Han, Sung-Hee (Department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Rehabilitation, Seoul National Hospital)
  • 발행 : 2002.12.31

초록

아동에 가해지는 정신적 외상의 충격은 아동의 심리발달에 지울 수 없는 상처를 남김으로써 향후 심각한 정신장애를 일으키는 결정적 원인이 된다. 아동기 외상의 현상학적 특징과 외상에 관여하는 신경생물학적 기전을 살펴보았고, 아동기에 경험하는 외상이 인격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그와 관련한 정신병리를 알아보았다. 외상에 노출된 아동은 공통적으로 자신이 경험한 공포사건을 시각적으로 재경험하거나 그 기억을 반복하며, 놀이나 행동을 통해서도 외상사건을 반복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일회의 충격적 사건에 노출된 아동은 사건에 대한 지나친 기억과 집착을 보이고 지각왜곡이 심한 반면 장기간 반복되는 외상을 경험하는 아동은 정신적 무감각과 자기최면, 해리, 분노의 경향이 두드러진다. 소아·청소년에서는 외상 후 퇴행이 보다 현저하고 시간감각의 왜곡이 더 심하게 나타나며 아동의 연령이 어릴수록 자율신경계의 반응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외상적 충격에 노출되면 뇌내에서 즉각적이고 방대한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이 있게되는데, 자율신경계, 면역계,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피질 축(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이 활성화된다. 외상시 internal opiate가 활발한 작용을 하면서 아동으로 하여금 외상에 반응하지 않도록 하고 외상에 대한 감정반응 자체를 봉쇄할 수 있도록 해준다. 아동기 외상의 경우 central noradrenergic system에 변화가 초래되어 카테콜아민에 대해 과민감한 비정상적 소견을 보이게 된다. 체내 순환되는 cortisol 수치는 감소하고, glucocorticoid 수용체 농도와 반응성이 증가한다. 외상 후 발견되는 기억력 장애는 해마의 구조적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아동기 외상은 자기(self)와 대상(object)에 대한 내적 표상(internal representation)이 지속적으로 분화 발전하는 발달과정에서 일어난다는 점에서 인격의 발달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해리, 신체화, 자학성, 자기애 장애의 정신병리로 발전하면서 경계성 인격장애, 자기애성 인격장애, 다중인격장애 등을 초래하게 된다.

Childhood psychic trauma appears to be a crucial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serious disorders both in childhood and in adulthood. Traumatized children show strong tendency to revisualize or re-feel a traumatic events. Play and behavioral reenactments are frequent manifestations of both the single blow and the long-standing traumas in childhood. Those children who suffer the results of single, intense terror appear to exhibit detailed memory, retrospective reworkings and misperceptions. In long-standing or repetitive trauma, children would show psychic numbing, self-hypnosis, dissociation and rage. Child's brain is undergoing critical and sensitive periods of differentiation. During this time, developing central nervous system is exquisitely sensitive to stress. Stressor-activated neurotransmitters and hormones can play major roles in neurogenesis, migration, synaptogenesis, and neurochemical differentiation. Internal opiate system operates in some trauma and causes the victim to fail to respond, to avoid, to shut off feelings. Evidence is also accumulating in traumatology that dysfuntion of locus coeruleus and ventral tegmental neucleus system leads to catecholamine receptors hypersensitivity. This change result in hypervigilance, increased startle, affective lability, and increased autonomic nervous system hyperreactivity. Another site of action of trauma on the brain is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Individuals with PTSD do not have enough cortisol to halt the alarm reaction. When children are exposed to long-standing extreme events, massive attempts to protect the psyche and to preserve the self are put into gear. These developmental traumas mobilize various kinds of defense mechanisms. Massive denial, dissociation, self anesthesia, identification with aggressor and aggression turned against the self often lead to profound character changes in the youngster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