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ant cell tumor of Cuneiform - A Case Report -

족부 설상골에 발생한 거대세포종 - 증례보고 1례 -

  • Kim, Jin-Wo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Gil Medical Cener, Gachon Medical College) ;
  • Park, Hong-Gi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Gil Medical Cener, Gachon Medical College) ;
  • Cho, Hyun-I (Department of Anatomical pathology, Gil Medical Cener, Gachon Medical College)
  • 김진원 (가천의과대학 부속 길병원 정형외과교실) ;
  • 박홍기 (가천의과대학 부속 길병원 정형외과교실) ;
  • 조현이 (가천의과대학 부속 길병원 병리학교실)
  • Published : 2002.06.30

Abstract

The incidence of giant cell tumors represents only 5% to 10% of all bone tumors. Occurrence on the small bones of the hand and foot are very rare. They typically present with pain and sometimes a pathologic fracture or even soft tissue extension. The radiographic appearance is highly characteristic. An eccentric osteolytic lesion is seen, producing cortical thinning and expansion, and possessing a delicate trabecular pattern. In tarsal bones, poorly or well-defined osteolytic lesions of variable size are encountered. Surgical treatment remains the preferred therapy. Marginal or wide en bloc resection has had far better results in term of local recurrence. Several authors have suggested extended curettage and cement as an alternative to en bloc resection. Follow-up is necessary to monitor for both local recurrence and the infrequent pulmonary metastases.

골의 거대세포종은 원발성 골 종양의 5-10%를 차지한다. 주로 20-40세 사이의 연령에서 많으며 90% 이상이 장골에 발생하지만 아주 드물게 수부나 족부 같은 편평골이나 단골에도 발생한다. 주요 증상은 동통이며 종종 병적 골절이나 심지어 연부 조직의 침범이 동반될 수있다. 방사선학적으로 골간단에 음영이 감소된 균질의 골 용해 소견이 보이며 주위에 반응성골 형성은 없다. 치료는 골 종양의 병기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재발율을 줄이고 침범 부위의 기능을 보존할 수 있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비진행성 병기는 소파술후 골이식이나 골시멘트 충전을 할 수 있고 진행성 병기는 광범위 절제술후 관절 고정술이나 종양 대치물로 사지 구제술을 시행한다. 전이, 국소재발을 주기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저자들은 족부의 외측 설상골에 발생한 거대 세포종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