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Centipede Bite Cases Who Visited a Medical Center

일개 의료원을 방문한 지네 교상 환례에 대한 조사

  • Lee, Dong-Uk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이동욱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 Published : 2002.12.30

Abstract

Thirty six patients, female 21(58.4%), male 15(58.4%), with centipede bite visited emergency room of Gimcheon Medical Center, from September 1998 to August 1999. The number of patients accompanying the seasons were increased once in June and were high in August and September; peaked in September, which conforms to the habitude that centipede likes the warmer climate. Frequency accompanying the time was high after sunset(from 6 p.m. to 6 a.m. next morning) than before sunset, which conforms to the habitude that centipede is nocturnal. Distribution of the bite sites was finger(30%), neck(28%), foot(25%) and hand(14%) as same as the previous researches showed. In case of finger and hand, patients got bitten while they were wearing gloves or doing works; foot, wearing shoes. They got bitten the neck while sleeping. Among the localized symptoms were localized pain: 36 patients(100%), swelling: 36 patients(100%), erythema: 26 patients(72.2%), paresthesia: 5 patients (13.9%). Systemic symptoms were dizziness 2 patients(5.6%) and nausea 1 patient(2.8%). Mostly the localized pain was improved within 48 hours, swelling in 48 hours and within 72 hours in case of paresthesia. Systemic symptoms such as dizziness and nausea were improved within 24 hours. Treatment and prognosis of scolopendra have similarity in many countries. We suggest that Korean standard treatment manual is needed so that the localized symptom, systemic symptom and external wound can be cured soon.

1998년 9월부터 1999년 8월까지 중소도시에 소재한 의료원 응급실을 방문한 지네 교상 환자는 여자 21명(58.4%), 남자 15명(41.6%)으로 총 36명이었다. 계절에 따른 변화는 6월에 한번 증가하고, 8월과 9월에 증가하며 9월에 가장 많았다. 시간에 따른 빈도는 일몰 후(저녁 6시부터 다음날 아침 6시까지)가 27명으로 일몰전 9명보다 많았다. 부위에 따른 빈도는 손가락 (30%), 목(28%), 발(25%), 손(14%) 등의 순이었다. 손과 손가락은 작업 중에 장갑을 끼거나, 일을 하던 중에 물렸으며, 발은 신발을 신다가 물렸다. 목의 경우는 잠을 자던 중에 물린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소적인 증상은 통증 36명(100%), 종창 36명(100%), 홍반 26명(72.2%), 감각이상 5명(13.9%)이 있었고 전신적인 증상은 어지러움 2명(5.6%), 오심 1명(2.8%) 있었다. 국소적 증상에서 통증의 호전은 대부분이 48시간 이내에 호전되었다. 종창의 호전은 48시간 이내 많은 호전이 있었고, 감각 이상은 72시간 이내에 호전되었다. 전신적인 증상으로 어지러움과, 오심은 24시간 이내에 호전되었다. 왕지네류 교상에서 치료와 예후는 각 나라마다 비슷하였다. 이에 우리 나라 실정에 맞는 표준화된 치료 지침을 만들어 지네에게 물렸을 때 국소적 증상과 전신적 증상, 그리고 외상에서 빨리 회복 될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