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공공보건기관 방문보건요원의 교육요구도 조사

Education Need of the Visit ing Health Service Workers in Gwangju and Jeollanam-do Public Health Facilities

  • 김영락 (곡성군 보건의료원) ;
  • 김신월 (곡성군 보건의료원) ;
  • 정은경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최진수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Kim, Young-Lak (Goksung-gun Health Center and County Hospital,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
  • Kim, Shin-Woel (Goksung-gun Health Center and County Hospital,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
  • Chung, Eun-Kyu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Choi, Jin-S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발행 : 2002.12.30

초록

전라남도의 무작위 추출된 10개 시 군과 광주광역시 5개 구의 방문보건사업 담당직원 200명 중 우편설문조사에 응답한 14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방문보건 사업과 관련된 교육훈련경험 여부와 만족도, 응답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한 방문보건서비스 관리 지식 정도 그리고 향후 방문보건사업에 필요한 교육훈련에 대한 요구도에 대해 조사하여 향후 방문보건요원의 교육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 중 3년 동안 한가지 이상의 중앙교육 훈련 경험자는 43명(29.9%), 광역자치단체의 교육훈련 경험자는 57명(39.6%),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교육훈련 경험자는 53명(36.8%) 등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점수화 한 결과 중앙 교육($2.38{\pm}0.57$)이 광역자치단체 교육($2.18{\pm}0.57$)과 기초자치단체 교육($2.13{\pm}0.54$)보다 높았다. 2. 조사대상자의 방문보건서비스 관리 지식 정도는 환자 및 질병관리 영역 중 투약 및 검사, 상처 및 욕창 관리, 환자 개인위생, 고혈압환자 관리, 당뇨환자 관리, 관절염환자 관리 그리고 전염성질환자 관리, 고위험 가족 및 가정환경 관리 영역 중 환경위생 관리, 안전 및 사고 관리 그리고 감염관리, 건강증진관리 영역이 5점 만점에 평균 3점 이상이었으며, 재활 및 요양 영역은 전반적으로 평균 3점 이하의 점수를 보였다. 3. 조사대상자의 방문보건서비스 관리 지식 정도는 간호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 높았으며, 중앙 교육 중 노인보건, 재활 등 실무영역과 정신보건전문간호사, 광역자치단체 교육 중 보건진료원보수교육, 정신 보건교육, 그리고 기초자치단체 교육의 건강증진영역, 노인보건, 재활 등 실무영역, 정신보건영역과 급성질환 관리영역에 대한 교육훈련 경험이 있는 경우 높았다. 4. 조사대상자의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도는 노인건강 관리과정이 가장 높았고, 최근 업무가 새롭게 추진되고 있는 노인보건, 호스피스, 치매노인관리, 재활, 건강증진 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방문보건사업 업무별로는 방문보건사업전반이 가장 높았고 방문보건사업에서 실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야가 교육의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방법으로는 공무원 집단교육(47.0%)을, 교육전담 주체는 광역자치단체 (30.4%)를, 교육방식은 실습(57.7%)을, 교육횟수는 년 2-3회(44.5%)를, 교육기간은 3-5일(41.0%)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지역사회 주민에게 효과적인 방문보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방문보건사업에 대한 지식 정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훈련의 기회를 확대하고 방문보건요원의 교육요구도에 근거하여 교육훈련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by reflecting the opinions of the visiting health service workers. The subjects were 144 visiting health service workers in Gwangju and Jeollanam-do area who responded the mail questionnair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to July, 2001 using questionnaire composed of the education need, knowledge by subjective appraisal, and experience of educ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received at least one education within recent three years were 43(29.9%) at the central level, 57(39.6%) at the provincial level and 53(36.8%) at the district level. The satisfaction with education was higher at the central level than at the provincial and district level. 2. Knowledges by subjective appraisal on the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management' and 'health promotion' was relatively high. while that of 'rehabilitation' was low. 3. The knowledge by subjective appraisal of visiting health service was related with experience of education and license status. The knowledge was higher in registered nurses than in nurse aids. The curricula related to increased level of knowledge of visting health service workers were 'elderly health care', 'rehabilitation' and 'psychiatric-mental health nursing' educations at the central level 'continuing education for the community health practioners' and 'psychiatric-mental health education' at the provincial level and 'elderly health care', 'rehabilitation' 'psychiatric-mental health' and 'acute diseases control' educations at the district level. 4. The respondents preferred elderly health management as the contents of education, officer group education as the method of education, province(30.4%) as the main body of education, exercise and practice as the form of education, 2-3 times per year as the frequency of education, and 3-5days as the period of edu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suggest that future education program should be planned to increae the knowledge level of visiting health service workers by reflecting their educational ne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