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lision between Technology and Politics in Korea's Nuclear Policy

한국의 원자력정책을 둘러싼 기술과 정치의 충돌

  • Published : 2002.06.01

Abstract

The view of technology is largely divided into 2 theories: (1) the theory of autonomous technology that claims technology's own development logic and momentum, (2) the theory of social determinism that regards technology as reflection of political choices. Autonomous technologists read our society in the language of technology and social determinists read our technology in the language of society.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at conflicts between government and environmental group in nuclear policy, especially radioactive waste disposition policy reflect collisions between autonomous technologists and social determinists representing technology and politics, respectively. On the surface, such collisions are occurred in rational, ethical and economical aspects. It maintains, however, in depth, they are about solution means to problems from which technologies derived. Also, it suggests that one of the alternatives to avoid inevitable collision may be interaction approach based on intertwining technology with society. More understanding of political natures and control possibilities for technology is needed because interaction approach is founded on this understanding. Finally, to help forming the Korea's nuclear utilization policy from now on, it gives 2 case studies compared France with Germany where expanding and contracting nuclear utilization policy, respectively.

기술을 보는 입장은 기술 자체의 논리와 추동력을 인정하는 자율적 기술론과 기술을 정치적 선택의 산물로 간주하는 사회결정론으로 크게 구분된다. 전자(기술의 지배)는 우리 사회를 기술의 언어로 읽고, 후자(정치의 지배)는 우리의 기술을 사회의 언어로 읽는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의 원자력 정책, 특히 방사성폐기물 처분 정책을 둘러싸고 형성된 정부와 환경단체의 대립관계는 자율적 기술론자(기술)와 사회 결정론자(정치)의 충돌이 반영된 것이라고 분석한다. 그리고 이 충돌은 겉으로는 합리성, 윤리성, 경제성 등의 측면에서 발생하지만, 심층적으로는 기술이 파생시킨 문제의 해결수단에 대한 충돌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불가피한 양자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서는 기술과 정치의 상호작용 이론에 근거한 접근방식이 한가지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러한 접근방식의 토대가 되는 기술의 정치적 속성과 통제 가능성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요청한다. 끝으로 우리나라 원자력 이용의 미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는 프랑스(원자력 이용 확대)와 독일(원자력 이용 축소)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