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tatus of Utilization and Criteria for Selection of Medical Care Faciliti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초등학생들의 의료기관 이용양상 및 선택 기준에 관한 연구

  • Han, Seung Pyo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Kim, Eun 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Rho, Young Il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Yang, Eun Seok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Park, Sang Ke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Park, Yeong Bo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Moon, Kyung Ry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한승표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은영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노영일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양은석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상기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영봉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문경래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01.06.25
  • Accepted : 2001.09.11
  • Published : 2002.02.15

Abstract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stribution of illness, patterns of medical care utilization and factors determining medical care utilizatio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thods : We performed the questionnaires in Gwangju city on 2,036 children of two elementary schools from June 1 to June 30, 1998. Results : The prevalence rate of illness was 32.3%. The distribution of illness was respiratory disease(64.7%), gastrointestinal disease(12.8%), injury & poisoning. The rate of persons having received medical treatment when they were sick, was 89.8%. The selection distribution among various medical facilities was pediatric hospital(46.7%), otolaryngologic hospital(19.8%), pharmacy (13.2%) and internal medicine in the decreasing frequency sequence.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medical facility were geographic accessibility and good results. The most common reason for the first visit to the pediatric hospital was geographic accessibility. The most common reason for a visit and to otolaryngologic hospital was a good result. The most frequently utilized medical facility for respiratory symptoms and gastrointestinal symptoms was pediatric hospital. The persons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medical facility in the children were mother(73.3%), father( 10.8%), doctor and others in decreasing sequence. The persons answering the questionaire thought that the optimal age of pediatric care was from 0 to 12 years(47.8%), to 10 years(22.4%) and to 15 years(18.5%) in decreasing rate. Conclusion : Other departments instead of pediatrics have treated children. Children have particular growth and development process, which is different to those of adults. So, it is necessary to choose special medical care and adequate medical facilities for children.

목 적 : 학동기 소아들의 상병상태, 의료기관 이용 양상, 선택기준 및 관련된 요인 조사하여 현재 소아 환자의 진료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대책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방 법 : 학동기 아동의 의료기관 이용율과 그 관련 요인을 조사 분석하기 위하여 1998년 6월 광주시내 초등학교 학부모 2,03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 과 : 1) 총응답자는 2,036명, 남자 1,035명, 여자 1,001명이었고, 남녀비 1.03 : 1 평균나이는 10.6세였다. 2) 질환의 유병률은 32.3%였고, 질환을 계통별로 보면 호흡 및 알레르기 질환 64.7%, 소화기 질환 12.8%, 외상, 치과질환, 기타 순이었다. 치료율은 89.9%였으며, 치료하지 않은 이유로 경미한 증상, 경제적 부담, 바쁜 생활 순이었다. 3) 질환에 이환 된 경우 주로 이용하는 의료기관은 소아과 46.7%, 이비인후과 19.8%, 약국 13.2%, 내과 12.2%, 가정의학과 순이었다. 4) 의료기관의 선택이유는 거리의 근접성, 치료효과, 교통의 편리성, 의사의 유명도, 의료인의 친절도 순이었다. 각 의료기관별 선택이유는 소아과의 경우 거리의 근접성, 이비인후과의 경우 치료 효과, 내과의 경우 의사의 평판이 많은 빈도를 차지하였다. 5) 호흡기 증상의 의료기관 이용도를 보면, 기침의 경우 소아과, 약국, 이비인후과, 내과 순이었고, 콧물의 경우 소아과, 약국, 이비인후과, 내과 순이었다. 열이 있는 경우 소아과, 약국, 이비인후과, 내과 순이었다. 6) 소화기 증상의 의료기관 선호도를 보면, 설사의 경우 소아과, 약국, 내과 순이었고, 변비의 경우 소아과, 약국, 내과 순이었다. 복통의 경우 소아과, 내과, 약국 순이었다. 예방접종은 보건소, 소아과, 내과 순이었고 피부 증상이 있는 경우에 소아과, 피부과, 약국, 내과 순이었다. 7) 연령에 따른 의료기관 선호도는 호흡기 질환의 경우 소아과 이용율의 경우 7세 50%가 점차 감소하여 13세 때는 33.8%로 감소한 반면, 이비인후과의 경우 7세 26.7%, 13세 때 22%로 별 변화 없었으나 내과의 경우 7세 6.7%, 13세 때 10.1%로 약간 증가하였다. 소화기 질환의 경우 소아과 이용율은 7세 때 45.4%였으나 13세 때는 20.2%로 크게 감소한 반면, 내과 이용율은 7세 때 25%, 13세 때 34.8%로 증가하였다. 특히 11세경부터 내과 이용율이 소아과의 이용율을 앞서고 있었다. 8) 의료기관선택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사람은 어머니, 아버지, 의사의 추천, 친구 이웃 순이었다. 9) 소아과 진료의 적정연령에 대하여서는 12세까지 47.8%, 10세까지 22.4%, 15세까지 18.5%, 8세까지 10.1% 순이었다. 결 론 : 소아과 진료영역의 많은 부분이 타과에서 쉽게 진료되고 있어 이에 대한 홍보와 대응책이 필요할 것이다. 소아는 성인과 달리 독특한 성장과 발달과정이 있으므로 전문적인 진료 및 적절한 치료기관의 선택이 필요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