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exible Bronchoscopic Findings and Therapeutic Effects in Atelectasis of Children

소아 무기폐에서 굴곡성 기관지내시경 소견 및 치료적 유용성

  • Shin, Mee Yong (Department of Pediatrics,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
  • Hwang, Jong Hee (Department of Pediatrics,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
  • Chung, Eun Hee (Department of Pediatrics,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
  • Moon, Jeong Hee (Department of Pediatrics,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
  • Lee, Ju Suk (Department of Pediatrics,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
  • Park, Yong Min (Department of Pediatrics,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
  • Ahn, Kang Mo (Department of Pediatrics,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
  • Lee, Sang Il (Department of Pediatrics,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 신미용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아과) ;
  • 황종희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아과) ;
  • 정은희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아과) ;
  • 문정희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아과) ;
  • 이주석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아과) ;
  • 박용민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아과) ;
  • 안강모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소아과) ;
  • 이상일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아과)
  • Received : 2002.05.04
  • Accepted : 2002.07.09
  • Published : 2002.09.15

Abstract

Purpose : We evaluated the clinical manifestations, bronchoscopic findings and therapeutic effects of flexible fiberoptic bronchoscopy in atelectasis of children. Methods : Sixty six children who received bronchoscopy due to persistent atelectasis, acute severe atelectasis and incidental atelectasis on plain chest radiography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Results : The most common causative underlying disease was pneumonia(60.4%). Other underlying conditions were pulmonary tuberculosis, chronic lung disease, postoperative state, bronchial asthma and chest trauma. The most common abnormal findings were inflammatory changes such as bronchial stenosis(n=15), mucosal edema and large amount of secretion(n=14), granulation tissue( n=3) and mucus plug(n=3) although 39.4% showed normal airways. Other findings were congenital airway anomalies, endobronchial tuberculosis, extrinsic compression and obstruction by blood clot. In 32 children with pneumonia-associated atelectasis, 43.7% revealed normal airways, and the most common abnormal findings were also inflammatory changes. Eighteen out of 39 patients who received therapeutic intervention such as suctioning of secretion, bronchial washing and intrabronchial administration of N-acetylcysteine($Mucomyst^{(R)}$) had complete or partial resolution of their atelectasis. In 32 patients with pneumonia-associated atelectasis, 56.5% showed improvement by therapeutic intervention. Conclusion : In this study, atelectasis was mainly associated with inflammatory airway diseases such as pneumonia. The most common abnormal bronchoscopic findings were inflammatory changes such as mucosal edema and large amounts of secretion and bronchial stenosis, although about 40% revealed normal airway. Flexible bronchoscopy is helpful for either diagnosis or treatment, especially in pneumonia-associated atelectasis.

목 적: 저자들은 무기폐로 굴곡성 기관지내시경을 시행받은 소아 환자들의 임상 양상, 기관지내시경 소견과 기관지내시경의 치료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단순 흉부 방사선 촬영에서 한달 이상 지속된 만성 무기폐, 급성 광범위 무기폐, 또는 우연히 발견되어 지속기간을 알 수 없는 무기폐를 보여 진단 및 치료 목적으로 굴곡성 기관지내시경을 시행 받은 66명의 소아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무기폐가 발생한 기저 질환으로는 폐렴 후에 발생한 경우가 32례(60.4%)로 가장 많았고 그 외에 결핵, 만성폐질환, 수술, 천식, 교통사고와 연관되어 나타났다. 무기폐는 우중엽(24.6%)과 우상엽(24.6%)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기관지내시경 소견은 정상 기도를 보인 경우가 26례(39.4%)로 많았고, 염증성 기도 변화를 보인 경우가 29례(경도의 염증성 기관지 협착 15례, 기도 점막의 부종과 과다 분비물을 보인 경우가 14례, 작은 육아종 3례, 점액마개가 3례)로 이상 소견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그 외 선천성 기도 기형, 기관지내결핵, 기관지의 외인성 압박과 혈전 등이 관찰되었다. 폐렴과 연관되어 발생한 무기폐의 기관지내시경 소견도 정상 기도를 보인 경우가 32례 중 14례(43.7%)였으며 기도 점막의 부종과 과다 분비물, 기관지 협착 등의 염증성 변화가 역시 이상 소견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치료적 목적으로 분비물의 흡입, 기관지 세척 및 N-acetylcystein($Mucomyst^{(R)}$) 주입을 시행받은 39례 중 18례(46.1%)에서 무기폐가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호전되었고, 폐렴과 동반되어 나타난 무기폐의 경우에는 치료적 처치를 시행 받은 23명 중 13명(56.5%)에서 무기폐가 호전을 보였다. 결 론: 굴곡성 기관지내시경술을 시행받은 소아들에서 무기폐는 대부분 폐렴과 만성폐질환, 천식 등의 염증성 호흡기질환과 동반되어 발생하였다. 기관지내시경 소견상 이상 소견으로는 경도의 기관지 협착과 다량의 염증성 분비물 등의 염증성 기도 변화가 대부분이었으나 약 40%에서는 정상소견을 보였다. 굴곡성 기관지내시경은 소아에서도 무기폐의 진단에 유용하였고, 만성 무기폐나 급성 광범위 무기폐의 치료에도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폐렴 후 발생한 지속적 무기폐의 치료에 기관지내시경이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