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te and Activity of Microorganism introduced into the Soil

토양에 투입된 미생물의 거동 및 활성

  • Chung, Jae-Ch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ollege of Health Sciences, Yonsei University) ;
  • Ju, Seul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ollege of Health Sciences, Yonsei University) ;
  • Lee, Jae-Woo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ollege of Health Sciences, Yonsei University) ;
  • Lee, Jung-Jae (Songjeong Middle School)
  • 정재춘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환경공학과) ;
  • 주설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환경공학과) ;
  • 이재웅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환경공학과) ;
  • 이정재 (송정중학교)
  • Received : 2002.06.22
  • Accepted : 2002.06.26
  • Published : 2002.06.30

Abstract

There are several purpose to introduce microorganism into the Soil. The major purpose is to promote plant growth and inhibit plant pathogens. The model example is to put in nitrogen fixing symbiotic bacteria, Pythium and Rhizobium. In order to achieve the intended goal, the introduced microorganism should survive and colonize with sufficient density. The survival of introduced microorganism depend upon biotic and abiotic factors. Predation and competition are important among biotic factor. Water tension, organic carbon, inorganic nutrients(N, P), pH are important factor among abiootic factor. Soil texture and distribution of soil pore are also important in the survival and colonization of introduced microorganism. Selection by soil ecosystem for inoculant is a crucial factor for colonization. Good example are control of autochtonous microorganism and the introduction of surfactant biodegrading Pseudomonas. Sometimes, carriers such as peat and montmorillonite can be added to help colonization. Carriers can protect introduced microorganism by supplying protective microhabitat. Organic polymer is also used as a carrier to immobilize bacteria or industrial enzymes. Examples of these carrier are calcium alginate, agarose and k-carrageenan. The function of these carrier is to provide microhabitat and help colonization for introduced microorganism.

농작물에 영양분을 공급하거나 식물의 생장촉진, 식물 병원균의 억제 등을 위하여 토양에 미생물이 투입된다. 대표적인 예가 질소고정 공생세균과 Pythium, Rhizobium 등이다. 이들이 투입되어 성공적으로 작용하려면 생존하여 충분한 밀도로 집략을 형성하여야 한다. 이들의 생존과 집략화에 미치는 영향은 생물적인 인자와 비생물적 인자에 의해 좌우된다. 생물적 인자중에서 중요한 것은 포식과 경쟁, 비생물적 인자 중에서 중요한 것은 물의 장력 유기탄소, 무기영양분(N, P), pH 등이다. 토양의 토성과 소공극 분포도 투입된 미생물의 생존과 활착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미생물에 대한 토양생태계의 선택성은 접종 세포 개체군의 활착에 있어서 중요하다. 예를 들면 항생제의 사용에 의한 토착미생물의 제어, 계면활성제를 분해하는 Psendomonas종을 투입하는 경우이다. 투입미생물의 활착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이탄, 점토 등의 수송체를 동시에 첨가할 수 있는데 이들은 투입미생물에게 보호적인 미소서식지를 만듦으로서 토양중에서 세균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세균이나 공업용 효소를 부동화시키기 위한 수송체로서 유기성 중합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물질들의 예를 들면 아질산칼륨, agarose, k-carrageenan 등이다. 이들도 미소서식처를 제공하므로서 투입미생물의 활착을 돕는 역할을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