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Clinical Investigations of Pulmonary Tuberculoma

폐 결핵종의 치료에 따르는 임상경과에 관한 연구

  • Song, Suk 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achon medical school, Ghil medical center) ;
  • Hahn, Hye Soo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achon medical school, Ghil medical center) ;
  • Kyung, Sun 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achon medical school, Ghil medical center) ;
  • Hwang, Jun K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achon medical school, Ghil medical center) ;
  • An, Chang Hyeo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achon medical school, Ghil medical center) ;
  • Lim, Young He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achon medical school, Ghil medical center) ;
  • Park, Gye 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achon medical school, Ghil medical center) ;
  • Park, Jeong Wo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achon medical school, Ghil medical center) ;
  • Jeong, Seong Hw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achon medical school, Ghil medical center)
  • 송석호 (가천의대 부속 길병원 호흡기내과) ;
  • 한혜숙 (가천의대 부속 길병원 호흡기내과) ;
  • 경선영 (가천의대 부속 길병원 호흡기내과) ;
  • 황준규 (가천의대 부속 길병원 호흡기내과) ;
  • 안창혁 (가천의대 부속 길병원 호흡기내과) ;
  • 임영희 (가천의대 부속 길병원 호흡기내과) ;
  • 박계영 (가천의대 부속 길병원 호흡기내과) ;
  • 박정웅 (가천의대 부속 길병원 호흡기내과) ;
  • 정성환 (가천의대 부속 길병원 호흡기내과)
  • Published : 2002.04.30

Abstract

Background : A pulmonary tuberculoma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a solitary pulmonary lesion. Treating a tuberculoma is still controversial and there are few reports on antituberculosis chemotherapy. In this study, the clinical findings and changes in the size of tuberculomas on a radiograph after completing antituberculosis chemotherapy was investigated. Methods : The medical records, an chest radiographs of 18 pulmonary tuberculoma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Gachon medical school, Ghil medical center between April 1998 and August 2001, were reviewed. The symptomatic changes were recorded and the size of the tuberculomas following treatment were compared. To compare the size, the long distance of each tuberculoma on the chest radiographs were measured and the additional radiological findings of calcification, satellite nodules and cavities were investigated. Results : Fifteen patients were men and 3 were women. The median age was 46 (24-74). Among these 18 patients, 14 patients had clinical symptoms. The other 4 patients were diagnosed incidentally as during a routine chest radiograph. The mean size of the tuberculomas on the initial plain chest film was $4.3{\pm}2.3cm$(range : 1.7-10 cm) and after 6 months treatment, it had decreased to $1.68{\pm}2.00cm$(range : 1.5-6.5 cm) (P<0.05). At least 6 months of antituberculosis chemotherapy resulted in the findings of a tuberculoma with a disappearance in 9, a decreased size in 4, and no change in 5 on the chest radiograph. Calcifications were found in 3 patients on the initial chest film and the chest CT and all calcified tuberculomas had disappeared after treatment. Conclusion : Although a pulmonary tuberculoma can remain as an inactive lesion for a long time, if it is confirmed by pathological or bacteriological methods, antituberculosis chemotherapy will be beneficial despite the presence of calcification.

배 경: 폐 결핵종은 흉부 방사선 사진에서 고립성 폐 결절 또는 종괴 형태로 나타나는 병변으로 임상적으로는 폐암과 감별이 필요한 병변이다. 폐 결핵종의 치료에 대하여 아직 확립된 기준이 없으며 폐 결핵종의 치료에 대하여 아직 확립된 기준이 없으며 폐 결핵종의 항결핵제 치료 후 임상상의 변화에 관한 보고는 드물다. 저자 등은 폐 결핵종의 항결핵제 치료 후에 임상 증상의 변화, 결핵종의 크기 변화 등을 알아보았다. 방 법: 1998년 4월부터 2001년 8월까지 가천 의과대학 중앙 길병원을 방문하여 폐 결핵종을 진단받고 항결핵제를 6개월 이상 복용한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 18명의 의무 기록과 단순 흉부 사진,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소견을 후향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자료들을 분석하여 치료에 따른 임상 증상의 변화, 단순 흉부 사진상 결핵종의 크기 변화, 진단시 단순 흉부 사진과 전산화단층촬영소견에서 석회화, 공동, 위성 결절 유무에 다른 치료 후의 변화 등을 비교하였다. 결 과: 임상 증상은 대상 환자 총 18명 중 14명이 있었으며 4명은 단순 흉부 사진에서 우연히 결핵종이 발견되었다. 기침을 호소한 경우가 8명으로 가장 많았다. 병변의 크기는 진단시 장경의 평균이 $4.3cm{\pm}2.3cm$(범위 : 1.7-10 cm) 였으며, 항결핵제 투여 후 6개월 전후에 촬영한 단순 흉부 사진상 평균은 $1.68{\pm}2.00cm$(범위 : 1.5-6.5 cm)로 의미있게 크기가 감소하였다. 항결핵제 투여 후 6개월 전후 단순 흉부 사진상 병변이 사라진 환자는 9명이었으며, 크기가 줄어든 환자가 4명, 크기에 변화가 없었던 환자가 5명이었다. 진단시 단순 흉부 사진 및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석회화 소견이 있었던 환자는 3명이었으며 이 중 3명 모두가 단순 흉부 사진상 병변이 사라졌다. 위성 결절이 있었던 4명중 1명은 병변이 사라졌으며, 1명은 병변의 크기가 줄었고, 2명은 크기에 변화가 없었다. 공동이 있었던 4명 중 2명은 병변이 사라졌으며, 1명은 병변의 크기가 줄었고, 1명은 병변의 크기에 변화가 없었다. 결 론: 폐 결핵종이 의심되는 경우 조직학적, 세균학적으로 악성종양과의 감별 및 결핵의 감별 및 결핵의 활동성 여부를 확인하고 석회화의 유무와 상관없이 항결핵제를 투여하여 치료를 하면 임상적으로 호전을 기대할 수 있고, 치료하지 않아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여러 합병증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