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atistical Word Sense Disambiguation Using Combinations of Syntactic Indicators

구문 지시자를 통합한 통계적 어의애매성 해결

  • 김권양 (경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최재혁 (신라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02.03.24
  • Accepted : 2002.04.10
  • Published : 2002.04.30

Abstract

In this paper, we present a simple statistical method for performing word sense disambiguation(WSD), specially for Korean transitive verbs, based on a supervised learning algorithm. This approach combines a set of indicators based on syntactic relations between surrounding words and an ambiguous verb. Experiments with 10 Korean verbs show that accuracy performance of our WSD method using indicators based on syntactic relations is 27% higher than the baseline performance. Moreover, our method using weighting mechanism based on each indicator type is 12% higher than a method which uses only an unordered set of surrounding words in the context.

본 논문에서는 지도학습 알고리즘에 기반한 한국어 타동사의 어의 애매성 해결을 위한 통계적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어의 애매성 해결 방법은 주어진 동사와 문맥 내에서 이들 동사의 주변 단어들과의 구문적 관계에 기반한 지시자들을 결합한 방법이다. 비교적 애매성이 심한 한국어 타동사 10개에 대한 어의 애매성 해결 실험 결과, 구문 관계에 기반한 지시자를 사용한 어의 애매성 해결 방법이 기준 정확도 성능 평가보다 27%의 정확도 성능 개선을 보였으며, 지시자 유형에 대해 가중치를 부여한 방법이 문맥 내에 무순서적인 주변 단어에 대한 정보만을 사용하는 방법에 비해 12% 정확도 성능 개선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