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hysical and Mental Symptoms of Normal Subjects with Mild Life Stress

생활 스트레스가 경미한 일반 성인에서의 신체적 및 정신적 증상 - 종합병원 건강증진센터 내원자들을 대상으로 -

  • Chu, Sang-Hee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Ha, Eun-Hye (Department of Psychiatr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NHIC) Ilsan Hospital) ;
  • Lee, Byung-Ook (Department of Psychiatr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NHIC) Ilsan Hospital) ;
  • Jon, Duk-In (Department of Psychiatr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NHIC) Ilsan Hospital) ;
  • Kim, Young-Hyun (Health Promotion Center, NHIC Ilsan Hospital) ;
  • Song, Dong-Ho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주상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하은혜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정신과) ;
  • 이병욱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정신과) ;
  • 전덕인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정신과) ;
  • 김영현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건강증진센터) ;
  • 송동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2.06.15

Abstract

Objectives : Aims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physical and mental symptom profiles related with perceived life stress in normal population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186 subjects who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at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Ilsan Hospital between July and December, 2000. We measured Life Stress Assessment Scale (LSAS), SCL-90-R (Symptom Check List-90 Revised), and Physical Health Check Questionnaires to evaluate perceived life stress for one year, and physical and mental symptoms. The physical markers related with stress were also measured. According to LSAS scores, we selected two groups from all subjects : Group I (LSAS score with lower 25 percentile) and Group II (LSAS score with higher 75 percentile). Each number of subjects was 46 in Group I and 47 in Group II. We analyzed stasistical significances of study variables between Group I and II. Results : Group II subjects showed higher scores in all subscales of SCL-90-R compared to Group I subjects. Comparing to Group I, Group II subjects complained more physiological symptoms related with anxiety and depression.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physical markers related stress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We found that past year-life stress caused various mental and physical symptoms, which didn't develop any physical illness related life stress in normal populations yet.

연구목적: 종합 병원 건강 증진 센터를 내원한 일반 성인들을 대상으로 생활 스트레스, 신체적 및 정신적 증상, 그리고 신체 이학적 지표들을 측정하여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 7 월부터 12월까지 종합병원 건강증진센터에 내원한 성인 남녀 중 186명을 대상으로 하여 생활 스트레스 측정도구, 간이정선진단검사, 건강 검진 문진표를 사용하여 대상들이 지각하는 생활스트레스와 신체적 및 정신적 증상을 조사하였으며, 건강 진단에 통상적으로 시행되는 검사 중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어지는 신체 이학적 지표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연구 대상을 생활스트레스지각의 정도에 따라 스트레스 낮은 군과 높은 군으로 나누어 두 군간에 연구변인들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스트레스가 낮은 군과 높은 군 사이에 간이정신진단검사의 모든 소항목 점수들은 모두 유의미한 분포의 차이를 보였으며, 주관적인 신체증상에서도 불안, 우울 증상과 그와 관련된 자율신경계 증상들이 유의미하게 분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성인병의 지표라 볼 수 있는 신체이학적 검사자료에서는 두 군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생활 스트레스는 일반 성인남녀에서 정신적 증상 및 신체생리 증상들을 야기할 수 있지만,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심장병 등의 스트레스성 성인질환으로 진행되기까지는 스트레스가 상당기간 지속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