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Philosophical Views on Scientific Knowledge and Effects of Discussing and Reading Related to the Knowledge

중학교 2학년 과학영재들의 과학 지식에 대한 과학철학적 관점과 이에 대한 토론 및 읽기 활동의 효과

  • Hong, Sang-Wook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Jeong, Jin-Woo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Jang, Myoung-Duk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홍상욱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정진우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장명덕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2.06.29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scienc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philosophical views on scientific knowledge, and the effects of discussing and reading related to the knowledge. Ten eighth-graders in a science gifted clas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t the beginning, the students had one of six positions: (a) relativism (n = 2); (b) falsificationism (n = 2); (c) borderline between relativism and eclecticism (n = 1); (d) borderline between falsificationism and eclecticism (n = 3); (e) borderline among relativism, falsificationism, and eclecticism (n = 1); and (f) borderline inductivism and eclecticism (n = 1). This result indicated that most students had on almost modern philosophical view of scientific knowledge. 2, Some students, who had chosen the item of inductivism in some questions of the instrument at the beginning, maintained their selection despite discussions and readings related to scientific knowledge. The data were examples which indicated the difficulty of changing from a traditional view to a modern view of scientific knowledge.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들의 과학 지식에 대한 과학철학적 관점을 조사하고, 토론과 읽기 활동에 따른 관점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하는 중학교 2학년 1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 전 학생들의 과학 지식에 대한 관점은 상대주의(n=2), 반증주의(n=2), 상대주의와 절충주의의 경계(n=1), 반증주의와 절충주의의 경계(n=3), 상대주의, 반증주의 및 절충주의의 경계(n=1), 귀납주의와 절충주의의 경계(n=1)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과학 지식에 대한 현대적인 과학철학적 관점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토론 및 읽기 활동이 학생들의 과학 지식에 대한 관점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였지만, 일부 문항들에서 귀납주의 항목을 선택했던 학생들은 토론과 읽기 활동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같은 응답을 유지하는 견고성을 보였다. 이는 전통적 과학철학 관점에서 현대적 과학철학 관점으로의 변화가 용이하지 않음을 시사하는 한 예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주훈, 이은미, 최고은, 송상헌, 1996, 과학영재판별도구개발연구(I), CR96-27.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7 p
  2. 김영민, 2002, 과학 영재 선발 도구 개발 방안. 제1회 과학영재교사 연수 및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세미나 및 워크숍 자료집, 15-24
  3. 소금현, 2000, 중학교 과학 영재 및 일반 학생의 정의적특성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5 p
  4. 소원주, 1998, 과학교사의 과학철학적 관점과 과학서술방식이 중학생들의 과학관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4-172
  5. 이상천, 2000, 영재교육센터 교육프로그램의 유형의 분석과평가. 제37차 한국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7-44
  6. 이화국, 2002, 인터넷 기반의 협동적 문제해결학습 지도 방안. 제1회 과학영재교사 연수 및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세미나 및 워크숍 자료집, 71-91
  7. 이현욱. 심규철. 조선희. 장남기, 1999,과학 영재교육을 위한 '잠재 능력 판별 방법'의 적용.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7(3), 266-275
  8. 임길영, 2002, 전북 과학 영재교육 추진계회. 제1회 과학영재교사 연수 및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세미나 및 워크숍 자료집, 95 p
  9. 정병훈, 2001, 초등과학영재프로그램의 개발 방향. 청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발간논문, 22, 1-33
  10. 조희형, 2002, 과학영재 학습지도 자료 개발 방안. 제1회과학영재교사 연수 및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세미나 및 워크숍 자료집, 9-13
  11. 조희형, 1994, 잘못 알기 쉬운 과학 개념. 전파과학사, 21-30
  12. 홍상욱, 2001, 해석적인 서술방식으로 구성된 과학학습자료가 고등학생의 과학철학적 관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 p
  13. Bentley, M., Ebert, C., and Ebert, E.S., 2000, The naturalinvestigator: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teachi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Wadsworth, 4 p
  14. Keamey, K., 1996, Highly gifted children in full inclusionclassrooms, Eric ED425575, 1-11
  15. Reid, C. and Romanoff, B., 1997, Using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to identify gifted children. Educational Leadership, 55(1), 71-74
  16. Sweeney, N.S., 1995, Gifted children have special needstoo. Early Children News, 7(3), 6-13
  17. Torrance, E.P. and Goff, K., 1990, Postering AcademicCreativity in Gifted Students. Eric ED321489, 2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