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ent Team-Achievemenl Division(STAD) 모형의 협동학습이 고등학교 학생들의 천문영역에 대한 학업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STAD Model on High School Student' Learning Achievements and Scientific Attitudes in the Field of Astronomy

  • 박홍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지구과학교육학과) ;
  • 조용구 (계산고등학교)
  • Park, Hong-Seo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Graduate School ,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Cho, Yong-Goo (Kye San High School)
  • 발행 : 2002.12.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천문영역에서 STAD 모형의 협동학습이 고등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본 연구의 또 다른 목적은 천문영역에 있어서 향상 점수에 근거한 협동 학습과 교사 주도로 수업이 이루어지는 전통적 학습 사이의 영향을 비교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인천시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남학생 2개 반을 대상으로 하였다. 협동학습 집단의 학생들은 협동학습 방법으로 주당 4시간씩 4주 동안 수업을 받았다. 협동학습을 받는 동안에 학생들은 매주 ‘태양계 탐사와 별’ 단원에 대한 형성 평가를 받았다. 그 결과, 위의 두 가지 접근 방법은 학생들의 천문학적 지식에 있어서 상당히 다른 영향을 주었으며, 학생들이 전통적인 학습방법보다는 협동적인 학습방법에 보다 긍정적인 과학적 태도를 취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협동 학습은 천문학적 지식의 학습과 과학적 태도에 있어서 전통적인 학습보다 보다 효과적이고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operative teaming through student team-achievement division (STAD) model on high school students’ leaming achievements and scientific attitudes in the field of astronomy. It is another aim to compar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improvement scores with traditional teaching method done only by teachers in astronomy fiel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wo tenth grade classes in a boy’s high school in Incheon. Students had four classes a week in cooperative learning way for four weeks. During cooperative learning classes, formative evaluation was given to students every week oil Stars and Exploring the Solar System. The results show that these two approaches have great different effects on students’ astronomical knowledge and that students adopt more positive scientific attitude toward cooperative learning classes than traditional ones. In conclusion, the cooperative learning is more effective and positive than traditional one in learning astronomical knowledge and in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for science classe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2.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협동학습이 고등학생의 물리 학업 성취 및 과학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성호
  3. 초등과학교육 v.15 no.1 열린 교실에서 과학교육의 협동학습 전략 김현재
  4. 화학교육학회지 v.25 no.2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학생중심 활동을 강조한 협동학습과 개별학습 전략의 효과 노태희;박수연;임희준
  5.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협동학습이 중학생의 과학 지식, 탐구 ?v력 및 학습 환경 인식에 미치는 효과 이양락
  6.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과학 수업에서의 협동학습: 교수 효과와 소집단의 언어적 상호작용 임희준
  7.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중학생의 대기와 물의 순환 개념변화에 대한 협동학습의 효과 전선례
  8. Psychology Bulletin v.89 Effects of 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goal structures on achievement : A meta-analysis Johnson, D.;Maruyama, G.;Johnson, R.;Nelson, D.;Skon, L. https://doi.org/10.1037/0033-2909.89.1.47
  9. Dimensions of cooperative classroom structures Kagan, S.
  10.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 v.19 no.3 Effect of ability grouping on secondary school students: A meta-analysis of evaluation findings R. Slavin;S. Kulik;C. L.;Kulik, J. A. https://doi.org/10.3102/00028312019003415
  11. Science Education v.72 no.4 Academic achievement and on-task behavior of high school biology students instructed in a cooperative small investigative group Lazarowitz, R.;Hertz-Lazarowitz, R.;Baird, J. H.;Bowlden, V. https://doi.org/10.1002/sce.3730720407
  12. Educational Leader-ship v.48 no.5 Synthesie of research on cooperative learning Slavin. R. 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