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Kinematic Characteristics at Entrance to the Straight Course from the Curvilinear Course in the 200m-Track Game

육상 200m 경기의 곡선주로에서 직선주로 진입 시 운동학적 특성분석

  • Oh, Sei-Jin (Director Pocheon Gyeonggi province, Sports Division Bears Town inc.)
  • 오세진 (베어스타운 스포츠사업단)
  • Received : 2002.11.04
  • Published : 2002.08.30

Abstract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kinematic characteristics at entrance to the straight course from the curvilinear course in the 200m-track gam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4 sprinters by setting the 10m-section combined from the curvilenear track to the straight course and shooting them with the camcorder. It was set up to include all the sections of analysis by using the framework of the control point knowing the coordinate of the space and actu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motion showing the best records by conducting it for each subject five time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s showed the average stride of 4.5${\pm}$0.41 times at the 10-meter section and the required time of 1.42${\pm}$0.04sec. They showed the ratio average stride to height of 1.25${\pm}$0.20% and the average speed of 7.06${\pm}$0.19m/s. The displacement i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uman body at the section combined from the curvilinear course to the straight course was moving along the inward course of the curvilinear course, and the displacement of the leg located at the outward direction(right) was found to be larger than that of the leg located at the inward direction(left). In the speed of the left and right hand segments, it was found that the speed of the right hand located in the outward direction was faster than that of the left hand located at the inward, and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s progressed in the curvilinear course. The subjects showed the larger angle of the shoulder joint when the upper arm was loc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an when the it was located in the backward direction. In the curvilinear course, they showed the lower value of the lateral angle of the trunk when the right foot located at the outward direction left the ground than when the left foot located at the inward direction left the ground. And it was found that the lateral angle of the trunk became lower with approaching the straight course.

본 연구는 200m 경기의 곡선주로에서 직선주로 진입 시 나타나는 운동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단거리 육상선수 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곡선주로에서 직선주로로 연결되는 구간 10m를 설정하여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하였다. 공간의 좌표를 이미알고 있는 통제점 틀을 사용하여 분석구간을 모두 포함할수있도록 설치하였으며 대상자 별로 5번씩 실시하여 이중 가장 좋은 기록을 보인 동작을 실제 분석하였다. 10m 구간에서 대상자들은 평균 4.5${\pm}$0.41번의 보폭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요시간은 1.42${\pm}$0.04sec.를 보였다. 평균보폭의 신장비는 1.25${\pm}$0.20%를 보였으며, 평균속도는 7.06${\pm}$0.19m/s를 보였다. 곡선주로에서 직선주로로 연결되는 구간에서 인체중심변위는 곡선의 안쪽 코스를 따라 이동하고 있었으며 외측(오른쪽)에 위치하는 다리의 변위가 내측(왼쪽)에 위치하는 다리의 변위보다 크게 나타났다. 좌우측 손분절 속도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왼손의 속도보다는 외측에 위치하는 오른손의 속도가 다소 빠르게 나타났는데, 곡선주로에서는 외측에 위치하는 팔의 속도를 크게하여 질주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깨관절각도는 상완이 전측에 위치할 때 보다는 후측에 위치할 때가 보다 큰 각도를 보이고 있었으며 몸통측면각도는 곡선주로의 외측에 위치하는 오른발이 이지할 때 보다는 내측에 위치하는 왼발이 이지할 때 더 작은 값을 보이고 있었으며 직선주로에 근접할수록 몸통 측면각도가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몸통회전각은 외측에 위치하는 오른발이 지지할 때 몸통을 전방으로 회전시켜 나아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관희(1989). 단거리 출발동작의 생체역학적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기영(1988). 육상경기총론. 서울 : 보경문화사
  3. 김동하(1994). 달리기 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강원대학교 체육과학연구논문집. 18, pp.257-273.
  4. 김용운, 정철수, 은선덕, 이영석(2000). 200m 달리기 시 곡선구간과 직선구간 동작의 운동학적 비교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제 10권 1호, pp.95-114.
  5. 오세진(1997). 100m 크라우칭 스타트 시 블록 각도가 출발동작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오용희(1987). 100m 경주 출발 제일보의 위치에 따른 지면반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은선덕(1996). 100m 달리기시 최고 속도 구간과 감속구간의 동작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이종훈(1996). 100m 달리기시의 기록에 영향을 미치는 운동역학적 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윤희중, 장영섭(2000). 육상 단거리 차렷 자세 동작에서 팔 넓이가 운동학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제 10권, 1호. pp.25-38.
  10. Abdel-Aziz, Y.I., & Karara, H.M. (1971). Direct linear transformation from comparator coordinates into object space coordinates in close-range photogrammetry.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on Close-Range Photogrammetry (pp. 1-18). Falls Church, VA: American Society of Photogrammetry.
  11. Cavanagh, P.R.(ed). (1990). Biomechanics of distance running. Champaign, U.S.A: Human Kinetics.
  12. Chow, J.W.(1987). Maximum speed of female high school runner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Biomechanics, 1987, 3, pp.110-127.
  13. Hamill, J., Murphy, M., & Sussman, D.(1987). The effects of track turns on lower extremity fun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Biomechanics, 1987, 3, pp.276-186.
  14. Hinrichs, R. N.(1987). Upper extremity function in running. II: Angular momentum consider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Biomechanics, 1987, 3, pp.242-263
  15. Kwon, Y.-H. (1994). KWON3D Motion Analysis Package 2.1 User's Reference Manual. Anyang, Korea: V-TEK Corporation.
  16. Mann, R., & Herman, J.(1985). Kinematic analysis of Olympic sprint performance: Men's 200 meter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Biomechanics, 1985, 1, pp.151-162.
  17. Murase, Y., Hoshikawa, T., Yasuda, N., Ikegami, Y., & Matsui. H. (1978). Study on the comparision of the progressive speed during 100 & 200m running. In E. Asmussen. & K. Jorgensen(eds.), Biomechanics VI-B, Baltimore: University Park Press, pp. 86-96.
  18. Schot, P.K. & Knutzen, K.M.(1992). A biomechanical analysis of four sprint start positions. Research Quarterly, 63(2), pp.137-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