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ormation Process and Spatial Structure of the Mountainous Village : The Case of Yowon-Village, Gyeongbuk Province

산지촌의 형성과정과 공간특성 변화 : 영양군 석보면 요원리를 사례로

  • Published : 2002.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formation process and spatial structure of the mountainous village in the historic process as the case study on Yowon-village, Gyeongbuk province.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the follows. The traditional location of the Yowon mountain village has been strongly influenced by local topology, drinking water, the form and time of the early setters.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village was changed by the construction of road and accessibility to the road after the introduction of commercial agriculture. The form of the village consists of small scale of concentrated villages and dispersed. villages. Specifically, Yowon 1 ri has been restructured as a small scale of concentrated village and Yowon 2 ri as a dispersed one. The facilities both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traditional village and related to communal life were moved outside while those for commercial agriculture wer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village. In sum, the village had been traditionally life-oriented and closed, but it was production-oriented and open particularly after the introduction of commercial agriculture.

본 연구는 영양군 석보면 요원리를 사례로 산지촌의 입지, 형태, 공간적 특성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사례지역취락의 입지는 지형적인 여건, 식수원, 이주형태에 의해 상업적 산지농업지역으로의 재편이후에는 도로와 농경지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 취락형태는 소촌(小村)과 산촌(散村)이 혼재하고 있다. 촌락의 해체/재편과정에서 요원1리는 소촌으로 요원2리는 산촌중심으로 재편되었다. 전자는 자가소유 토지를 기반으로 고추나 담배 등 1차 가공을 하여 출하하는 반면 후자는 임대농이 많으며 주로 반기간 수확 가득한 채소류를 주로 재배하고 있다. 상업적 농업초기에는 가옥과 농경지를 연결하는 방향에서 도로가 개설되었으나 최근에는 외부지역 즉 시장과의 접근성을 중심으로 개설되었고 가옥 또한 이들 도로를 중심으로 이전함으로서 도로가 취락 공간구조 변화의 핵심 요소가 되었다. 종래 마을중심에 입지해 있는 공동체적인 생활과 직결되는 각종 시설물들은 외곽으로 밀려난 반면 상업적 농업과 관련된 시설들이 취락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과거 생활중심의 폐쇄적 공간구조에서 생산 중심의 개방적 공간구조로 재편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