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Optic lobes of Todarodes pacificus and Octopus minor are largely divided into cortex and medulla, the cortex being composed of three layers (an outer granule cell layer, a plexiform layer, and an inner granule cell layer). The cortex of Todarodes pacificus is about $420{\sim}450{\mu}m$ thick, being $170{\sim}200{\mu}m$ thicker than that of Octopus minor of which thickness is about $250{\sim}290{\mu}m$. In the outer granule cell layer of Todarodes pacificus, three types of nerve cells (type-A, type-B and type-C) and neuroglial cells that surround or contact with the neurons are observed, while in the outer granule cell layer of Octopus minor, two types of nerve cells (type-A and type-B) and a single type of neuroglial cells are observed. In a plexiform layer, a presynaptic bag and nerve ending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consequently forming various types of synaptosomes. The synaptosomes of Todarodes pacificus contain electron dense vesicles, electron dense-core vesicles and electron lucent vesicles, either individually or in a mixture. On the other hand, three types of synaptosomes a mixture of electron dense-core vesicles and electron lucent vesicles, electron lucent vesicles only, and electron dense-core vesicles only are observed in Octopus minor. The structures of the inner granule cell layer are almost similar in the two species. It is composed of two types of nerve cells (type-A, type-B) and a single type of neuroglial cells. In the medulla of Todarodes pacificus, the cells of $7{\times}5{\mu}m$ are arranged to a line and form the palisade cell layer, but these are not observed in Octopus minor.
살오징어와 서해낙지의 시엽은 피질부와 수질부로 크게 나눌 수 있었고, 피질부는 3층(외과립세포층, 망상층, 그리고 내과립세포층)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피질부의 두께는 오징어에서 약 $420{\sim}450{\mu}m$ (외과립층, $100{\mu}m$; 망상층, $170{\sim}200{\mu}m$ 그리고 내과립층, $150{\mu}m$) 정도였고 낙지인 경우는 약 $250{\sim}290{\mu}m$ (외과립세포층, $50{\sim}70{\mu}m$; 망상층, $100{\sim}120{\mu}m$; 내과립세포층, $100{\mu}m$) 정도로 관찰되어 오징어가 낙지에 비해 $170{\mu}m$ 정도 더 두터웠다. 살오징어의 외과립세포층에서는 3종류의 신경세포(A형, B형 그리고 C형)와 이들을 감싸거나 인접되어 있는 신경교세포들이 관찰되었고, 서해낙지에서는 2종류의 신경세포(A형과 B형)와 1종류의 신경교세포가 관찰되었다. 망상층에는 전연접자루와 신경말단들이 서로 연접되어 다양한 형태의 연접체를 형성하였는데, 살오징어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은 소포, 과립소포, 그리고 투명소포 등이 혼재되어 있거나 한 종류만을 포함하는 경우 등 다양한 반면, 서해낙지에서는 투명소포만을 소지한 경우와 과립소포만을 소지한 경우, 그리고 투명소포와 과립소포들이 혼합된 경우 등 3종류의 연접체가 주로 관찰되었다. 내과립세포층은 구조적으로 두 종에서 거의 비슷한 형태이며 2종류의 신경세포(A형과 B형)와 1종류의 신경교세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살오징어의 수질부에서는 크기가 $7{\times}5{\mu}m$ 정도인 세포들이 일렬로 배열되어 있어 울타리세포층을 형성하였으나 서해낙지에서는 이들이 관찰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