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 정유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I ) - 침엽수 잎 정유의 항균활성 -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ies of Woody Essential Oils( I ) -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from Coniferous Needles -

  • 투고 : 2001.08.01
  • 심사 : 2001.09.12
  • 발행 : 2002.03.26

초록

대표적인 침엽수인 소나무, 잣나무, 편백, 화백의 잎 정유를 사용하여 수목 정유의 항균활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항진균활성은 배지점적법을 이용하여 목재부후균인 Gliocladium virens, Tyromyces palustris, Trametes versicolor를, 비부후성 열화균인 Rhizopus stolonifer를, 수목병원균인 Phomopsis albobestita, Endothia nitschkeii, Melanconis juglandis에 대하여, 그리고 항세균활성은 paper disc법과 탁도측정법을 이용하여 그람양성균인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faecalis, Bacillus subtilis 및 그람음성균인 Escherichia coli에 대하여 검정하였다. 그 결과, 항진균활성은 편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소나무와 잣나무로 목재부후균에 대해서는 소나무가 잣나무보다 높은 활성을, 수복병원균에 대해서는 잣나무가 소나무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화백 잎 정유가 가장 활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세균활성은 항진균활성과 달리 소나무 잎 정유가 편백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그 다음이 잣나무 그리고 화백의 순이었다. 이러한 정유에 따른 항균 스펙트럼의 차이는 각 정유의 성분 변이와 이러한 성분들의 미생물에 대한 작용특이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essential oils were extracted from the needles of several softwood tree species, Pinus densiflora, Pinus koraiensis, Chamaecyparis obtusa and Chamaecyparis pisifera to investigate their biological activities. The antifungal activity by hyphal growth inhibition method was determined by three wood rot fungi, one mouldous fungi, and three tree pathogenic fungi and the antibacterial activity by paper disc method and turbidiometric method by three gram positive bacteria and one gram negative bacteria, Escherichia coli, were also tested. Antifungal activity was the best in the essential oil from C. obtusa, and the following was resulted in order of P. densiflora and P. koraiensis. The essential oil from P. densiflora showed higher antifungal activity against wood rot fungi than that from P. koraiensis while the result was contrary against tree pathogenic fungi. However, the antibacterial activity was the best in the essential oil from P. densiflora, and the following was in order of C. obtusa and P. koraiensis. From these results, the variation of biological activity seemed to be due to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ssential oils.

키워드

과제정보

본 연구는 임업연구원 임업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