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지역의 강우강도-지속기간-빈도곡선 개발

Development of the Intensity-Duration-Frequency Curve at Kong-Ju Area

  • 정상만 (공주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박석재 (홍익기술단 수자원부) ;
  • 유찬종 (공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발행 : 2002.06.30

초록

본 연구는 공주지역의 한국확률강우량도를 이용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한 후 강우강도-지속기간-빈도곡선식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공주지역의 재현기간별 확률강우강도식의 산정결과 강우강도식은 장 단기간으로 구분하는 것이 타당하였고, 강우강도식의 신뢰성을 설명하는 장기간의 결정계수($R^2$)는 $0.9924{\sim}0.9971$로써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재현기간별 확률강우강도식이 상당히 의미 있는 것으로 사려된다. 공주지역의 확률강우강도식은 최소자승법을 사용하여 Talbot형, Sherman형, Japanese형, 일반형의 4가지로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적용한 Sherman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주지역의 수공구조물 설계시 본 연구에서 산정된 재현기간별 확률강우강도식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도가 높은 설계를 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This paper is to derive the Intensity-Duration-Frequency Curve at Kong-Ju area after estimating probable rainfall depths using Rainfall Frequency Atlas of Korea.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probable rainfall intensity formulas should be classified by short and long term basis in this area.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of the probable rainfall intensity formulas are calculated as high as 0.9924 through 0.9971. Four types of rainfall intensity formulas such as Talbot type, Sherman type, Japanese type, General type are considered to determine the best type for the Kong-Ju area. Sherman type applied in this study can be determined as the representative probable rainfall intensity formula in the area. Therefore the rainfall intensity formulas for the selected return period in this study provide valuable insight into the estimation of the rainfall intensity. The developed Intensity-Duration-Frequency Curve can be used to provide a better hydraulic design at Kong-Ju area.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1988) 한국 확률강우량도의 작성
  2. 건설교통부(2000) 한국 확률강우량도의 작성
  3. 건설교통부(2000) 한국 확률강우량도
  4. 윤용남(1985) 공업수문학, 청문각, pp.67-71
  5. 윤태훈(1997) 응용수문학. 정문각, pp.773-777
  6. Chow, v. T.(1998) Applied Hydrology. McGraw? Hill. N.Y. , pp.454-459
  7. Wenzel, H. G.(1982) “Rainfall for urban storm water design' in Urban Stormwater Hydrology edited by D. F. Kiber, Water Resource Monograph 7, American Geophysical Union, Washington, D.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