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mentary Students' Cognitive Conflict Through Discussion and Physical Experience in Learning of Electric Circuit

전기회로 학습에서 초등학생의 토론과 체험을 통한 인지갈등

  • Published : 2002.12.30

Abstract

We investigated elementary students' conceptions of the simple electric circuit using a battery, a bulb and a wire, and made comparison between the cognitive conflict through peer discussion and the cognitive conflict through physical experience. Two hundred and sixty-four sixth grade students who already had learned about the electric circuit were participated. The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the student's conceptions about simple electric circuit consisted of 5 items drawing the wire connections between a battery and a bulb to light the bulb. The students in the discussion group paired randomly with student who had different conceptions, and then each pairs discussed about their ideas freely with each other. After discussion they conducted CCLT(Cognitive Conflict Level Test) which consisted of 4 factors; recognition, interest, anxiety, reappraisal. The physical experience group conducted a task in which they connected a battery and a bulb with a wire, then conducted CCLT. The sixth graders had various misconceptions. Most students were not aware of the scope of negative battery terminal and two electric terminals of a bulb. Many students emphasized the tip of a bulb and positive battery terminal. The score of CCLT in the discussion group was higher than in the physical experience group. This results showed that discussion with peers was more effective than physical experience to arouse cognitive conflict.

본 연구에서는 사전개념 검사 문제를 분석하여 간단한 전기회로 개념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오개념 유형을 알아보고, 인지갈등 검사문항으로 자신의 생각과 불일치한 동료 한명과 자유롭게 토론을 한 후의 인지갈등정도와 토론에서 사용한 같은 인지갈등 검사 문항으로 체험을 한 후의 인지갈등정도를 비교하였다. 대도시에 위치한 K초등학교 6학년 7개 학급 264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간단한 전기회로 개념에 관한 오개념 유형을 조사한 결과, 많은 학생들이 전구가 2개의 전기적 단자를 갖고 있음을 모르고 있었으며, 전구의 꼭지를 강조하거나 전지의 +극을 강조하는 경우가 있었고 단일극 모형을 가진 경우도 상당수 나타났다. 전지의 +극에 전구가 옆으로 뉘어져 있고 전선이 꼭지쇠와 전지 -극에 연결된 문항을 인지갈등 검사문항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인지갈등 검사문항으로 미리 구성한 토론 조에게 동료의 생각을 듣고 학습지에 적도록 한 다음에 자유롭게 토론을 하게 하였으며, 토론을 마친 후에 인지갈등검사를 하였다. 토론 내용을 알아보기 위해서 몇 쌍은 녹음, 녹화하여 프로토콜을 전시하여 학생들의 생각을 알아보았다. 체험은 토론을 하지 않은 같은 학교 6학년 학생으로 짝과 함께 2인 1조로 직접 실험을 하여 인지갈등 정도를 측정하였다. 토론과 체험을 통한 인지갈등 요소별 응답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론은 인지적 재평가, 불안, 인식, 흥미 순으로 인지갈등이 높게 나타났고 그 중에서 인지적 재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체험은 인식, 인지적 재평가, 흥미, 불안 순으로 인지갈등이 높게 나타났고 불안의 반응치가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 인지갈등 요소별 인지갈등 점수를 살펴보면 흥미, 불안, 인지적 재평가에서는 토론이 체험보다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불안 요소와 인지적 재평가 요소에서는 토론이 체험보다 점수가 높고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 까닭은 직접 실험으로 확인하지 못하고 토론만 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토론집단의 남녀 차이에 따른 인지갈등 요소별 응답 점수를 분석한 결과 남자는 인지갈등 요소별 점수가 인지적 재평가, 인식, 불안, 흥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 중에서 인식의 반응치가 높게 나타난 반면에 흥미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여자는 인지적 재평가, 불안, 흥미, 인식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인지적 재평가의 반응치가 그 중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에 인식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토론으로 인지갈등을 유발했을 때 갈등 요소 중 인지적 재평가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점수가 높고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인식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점수가 높고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체험집단의 남녀 차이에 따른 인지갈등 요소별 응답 점수를 분석한 결과 체험으로 인지갈등을 일으켰을 때 인식요소를 제외한 흥미, 불안, 인지적 재평가 요소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인지갈등 점수가 높게 나왔고, 특히 인지적 재평가 요소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 까닭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직접 실험하고 조작해 보는 경험을 많이 가졌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재술(1989). 과학개념의 한 인지적 모형. 물리교육, 7, 1-9
  2. 권재술(1992). 과학 개념 학습을 위한 수업 절차와 전략.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 19-29
  3. 김명련(1994). 인지갈등 수업 전략이 중학생의 과학 개념변화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범기, 권재술(1995). 과학 개념과 인지적 갈등의 유형이 학생들의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 472-486
  5. 박상석(1999). 과학학습에서 불일치 상황에 대면한 초등학생의 인지갈등측정 도구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심영이(1994). 인지갈등전략이 아동의 힘 개념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이영직(1992). 뉴턴 운동법칙에 관한 학생들의 오개념 견고성. 한국교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8. 이영직(1998). 인지갈등에 의한 고등학생의 물리 개념 변화.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차 영(2001). 작용과 반작용에 관한 학습에서 토론을 통한 인지갈등과 개념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 411-421
  10. Anderson, B.(1986). The experimental gestalt of causation: A common core to pupils' preconceptions in science. Ew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8, 155-171
  11. Appleton, K.(1997). Analysis and description of students' learning during science classes using a constructivist-based model.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 303-318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703)34:3<303::AID-TEA6>3.0.CO;2-W
  12. Chambers, S. K. & Andre, T.(1997). Gender. prior knowledge, interest, and conceptual change text manipulations in learning about direct curr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 107-123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702)34:2<107::AID-TEA2>3.0.CO;2-X
  13. Driver, R., Asoko, H., Leach, J., Mortimer, E., & Scott, P.(1994). Constructing scientific knowledge in the classroom. Educational Researcher, 23, 5-12
  14. Druyan, S.(1997). Effects of the kinesthetic conflict on promoting scientific reasoning. Journal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34, 1083-1099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712)34:10<1083::AID-TEA7>3.0.CO;2-N
  15. Hashweh, M. Z.(1986). Toward on explanation of conceptual change.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8, 229-249 https://doi.org/10.1080/0140528860080301
  16. Hewson, P., & Hewson, M.(1984). The role of conceptual conflict in conceptual change and the design of science instruction. Instructional Science, 13, 1-13 https://doi.org/10.1007/BF00051837
  17. Lee, G. H., Park, S. S., Kim, J. H., Kwon, H. G., Park, H. K., & Kwon, J. S.(1999).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ing student's cognitive conflict levels. Paper presented at NSTA(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annual meeting. Bostion, March 28-31
  18. Lucia, M.(1994). Analogy, metaconceptual awareness and conceptual change: A classroom study. Educational Studies, 20, 267-272 https://doi.org/10.1080/0305569940200209
  19. Niaz, M.(1995). Cognitive conflict as a teaching strategy in solving chemistry problems: A dialectic-constructivist perspectiv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2, 959-970 https://doi.org/10.1002/tea.3660320907
  20. Osborn, J.(1996). Beyond constructivism. Science Education, 80, 53-83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601)80:1<53::AID-SCE4>3.0.CO;2-1
  21. Pines, A. L., & West, L. H. T.(1986).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science learning: An interpretation of research with a source-of-knowledge framework. Science Education, 70, 583-604 https://doi.org/10.1002/sce.3730700510
  22. Posner, G., Strike, K., Hewson, P., & Gertzog, W.(1982). Accommodation of scientific conception: Toward a theory of conceptual change. Science Education, 66, 211-227 https://doi.org/10.1002/sce.3730660207
  23. Shepardson, D. P. & Moje, E. B.(1994). The nature of fourth gragers' understandings of electric circuits. Science Education, 78, 489-514 https://doi.org/10.1002/sce.3730780505
  24. Shepardson, D. P. & Moje. E. B.(1999). The role of anomalous data in restructuring fourth graders' frameworks for Understanding electric circui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 77-94 https://doi.org/10.1080/095006999290840
  25. Shipstone, D.(1988). Pupils' understanding of simple electrical circuits. Physics Education, 23, 92-96 https://doi.org/10.1088/0031-9120/23/2/004
  26. Throley, N., & Treagust, D.(1987) Conflict within dyadic interactions as a stimulant for conceptual change in phys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9, 203-216 https://doi.org/10.1080/0950069870090209
  27. Vosniadou, S.(1994). Capturing and modeling the process of conceptual change. Learning and Instruction, 4, 45-69 https://doi.org/10.1016/0959-4752(94)90018-3
  28. Yager, S., Johnson, D., & Johnson, R.(1985). Oral discussion, group to individual transfer, and achievement in cooperative learning group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7, 60-66 https://doi.org/10.1037/0022-0663.77.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