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과 생물 교과서에서 삼투 개념에 관한 설명 유형 분석

Analysis of Types of Explanation on Osmosis Concept in Chemistry and Biology Textbooks

  • 발행 : 2002.12.30

초록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와 대학교 화학과 생물 교과서에 제시된 삼투 개념에 대한 설명 유형 및 그림 표현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고등학교 화학 II 교과서와 생물 II 교과서의 단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삼투현상에 대해서는 용매의 확산으로 설명하는 유형, 충돌로 설명하는 유형, 수화로 설명하는 유형, 농도의 평형으로 설명하는 유형 그리고 구멍을 막는 것으로 설명하는 유형 등 다섯 가지 유형으로 설명하고 있었다. 그리고 삼투 개념에 대한 설명 유형과 교과서에 제시된 그림 표현 유형 사이에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분석되었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ypes of explanation on osmosis concept that were represented in chemistry and biology textbooks of high school and college. There were 5 types of explanation on osmosis concept. The types of explanation were diffusion of solvent, collision, hydration, equilibrium of concentration and screen of holes. Last two types of explanation were classified into misconceptions. The various types of explanation on osmosis concept might cause to have be a reason that students had many misconceptions and to feel difficult to learn about osmosis concept. Many of textbooks is accord to types of concept explanation and figure explanation on osmosis but some is no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만식, 박은호, 김일희(1996). 고등학교 생물 II. 교학사: 서울
  2. 강영희, 조완규, 서평웅, 목창수(1996). 고등학교 생물 II. 두산동아: 서울
  3. 김경주(1993). 유전에 대한 과학전공 대학생들과 과학교사들의 개념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김규홍, 성용길, 조웅인, 최영상(1994). 생체과학을 위한 물리화학. 자유아카데미: 서울, 189-191
  5. 김문수, 정영란(1997). 확산과 삼투개념에 관한 학생들의 이해도 및 오개념의 원인으로써 교과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2), 191-200
  6. 김시중, 문정대, 이종면, 구창현, 이상진(1996). 고등학교 화학 II. 금성출판사: 서울
  7. 김종균, 김덕희, 김충언, 박은배(1996). 고등학교 생물 II. 법문사: 서울
  8. 김준호, 이학동, 정완호, 김교창, 진익호, 박찬규, 김영수(1996). 고등학교 생물 II. 금성출판사: 서울
  9. 박경희(1998). 고등학생들의 삼투개념 이해를 위한 인지갈등 수업모형의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 박범순(1991). J. H. Van't Hoff의 삼투압 법칙의 형성 1884-1887.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박범익, 손명식, 이팽윤, 방재욱(1996). 고등학교 생물 II. 동아서적: 서울
  12. 박원기, 윤석진(1996). 고등학교 화학 II. 지학사: 서울
  13. 박인국, 이덕기, 장기문, 엄영주, 구수길(1996). 고등학교 생물 II. 박영사: 서울
  14. 박택규, 정규철, 김우탁(1996). 고등학교 화학 II. 박영사: 서울
  15. 소현수, 윤길수, 이영만, 허성일, 김용원(1996). 고등학교 화학 II. 두산: 서울
  16. 송호봉, 정용순(1996). 고등학교 화학 II. 형설출판사: 서울
  17. 신선옥(1993). 확산과 삼투에 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 및 오개념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안운선(2000). 물리화학 6판. 자유아카데미: 서울
  19. 여수동, 여환진, 장영근, 이규옥(1996). 고등학교 화학 II. 청문각: 서울
  20. 오제직, 김종휘, 박병빈, 최석남(1996). 고등학교 화학 II. 교학사: 서울
  21. 우규환, 김강진, 이인길, 여상인(1996). 고등학교 화학 II. 천재교육: 서울
  22. 유성이, 백성혜(2000). 입자와 에너지 관점에서 분석한 초등학교와 중학교 전류와 전지 단원의 문제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3), 432-442
  23. 이길재, 임건일, 김경호, 유병선, 임광택, 강석본, 이상인(1996). 고등학교 생물 II. 한샘출판: 서울
  24. 이운주, 방태철, 이승열(1996). 고등학교 화학 II. 고려서적: 서울
  25. 이원식, 한인섭, 윤용(1996). 고등학교 화학 II. 교학사: 서울
  26. 이현욱(1994). 확산과 삼투에 관한 분자운동 모델에 기초한 순환학습의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7. 전태식(1998). 수업 전략과 학습자 특성이 삼투개념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8. 정경수(1999). 물관. 체관. 확산. 삼투 및 증산. 증발의 개념 정의에서 생기는 중등생물교사들이 오개념 조사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9. 정구조, 류재홍, 이대형(1996). 고등학교 화학 II. 동아서적: 서울
  30. 정해문, 윤경일(1996). 고등학교 생물 II. 지학사: 서울
  31. 조희형, 박승재(1994). 학습론과 과학교육. 과학교육사
  32. 최병순, 문영삼, 신재섭, 김대수, 현종오(1996). 고등학교 화학 II. 한샘출판: 서울
  33. 하두봉, 강신성, 김상구, 한현일(1996). 고등학교 생물 II. 대한교과서: 서울
  34. 홍영남, 안태인, 안정선, 김원, 안태근(1996). 고등학교 생물 II. 천재교육: 서울
  35. 홍준의(1998). 학생의 인지 수준과 순환 학습이 삼투개념의 이해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6. Atkins, P. W.(1995). Physical Chemistry (6th ed.),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26-229
  37. Bodner, G. M.. & Pardue, H. L.(1998). 일반화학 2판. 범한서적: 서울,437-438
  38. Brady, J. E. (1996), 일반화학 5판. 탐구당: 서울,522-526
  39. Brady, J. E., & Holum, J. R.(1997). 화학 2판. 자유아카데미: 서울, 623-625
  40. Brown, T. L., LeMay, H. E., & Bursten, B. E.(1999). 일반화학 7판. 녹문당: 서울, 508-517
  41. Campbell, N. A.(1987). Biology (2nd ed). The Benjanin/Cummings Publishing Company: Califonia, 162-167
  42. Christianson, R. G., & Fisher, K. M. (1999). Comparison of student learning about diffusion and osmosis in constructivist and traditional classrooms. Science Eduation. 21(6), 687-698
  43. Ebbing, D. D., & Wringhton, M. S.(1995). 일반화학 5판. 교보문고: 서울, 524-527
  44. Friedler, Y., Amir, R.. & Tamir, P.(1987). High school students'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osmosis. Science Education. 9(5). 541-551 https://doi.org/10.1080/0950069870090504
  45. Guttman, B. S., & Hopkins, J. W. (1983), Understanding Biology. Harcourt Brace Jovanovich: New York. 270-271
  46. Hill, J. W., & Petrucci, R. H.(1998). 일반화학. 자유아카데미: 서울, 514-519
  47. Joesten M. D., & Wood, J. L.(1998). 화학의 세계 2판. 자유아카데미: 서울, 654-655
  48. Johnstone, A. H., & Mahmoud, N. A.(1980a). Isolating topics of highperceived difficulty in school biology.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14(2), 163-166 https://doi.org/10.1080/00219266.1980.10668983
  49. Johnstone, A. H., & Mahmoud, N. A.(1980b). Pupils' problems with water potential.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14(4), 325-328 https://doi.org/10.1080/00219266.1980.9654317
  50. Keeton, W. T., & Gould, J. L.(1980). Biological Science (4th ed.). W. W. Norton & Company: New York, 85-90
  51. Kimball, J. W. (1983). Biology (5th ed.). Addison- Wesley Publishing Company: Massachusetts, 108-112
  52. Kotz, J. C & Paul Treichel, Jr.(1999). 최신일반화학. 탐구당: 서울, 766-770
  53. McMurry, J., Fay, R. C.(1996). Chemistry. NJ : Prentis-Hall Publishing, 515-525
  54. Malone, L. J.(1999). 화학의 기본개념. 자유아카데미: 서울, 367-369
  55. Moore, J. W.. Stanitski, C. L., Wood, J. L., Katz, J. C., & Joestern, M. D.(2000). 일반화학. 자유아카데미: 서울, 831-832
  56. Morse, J. G., & Vitz, E.(1999). A Simple demonstration model of osmosi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6(1), 64-65 https://doi.org/10.1021/ed076p64
  57. Noggle, J. H.(1998). 물리화학 3판. 자유아카데미: 서울, 362-363
  58. Odom, A. L., & Barrow, L. H.(199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two-tier diagnostic test measuring college biology students' understanding of diffusion and osmosis after a course of instruc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2(1), 45-61 https://doi.org/10.1002/tea.3660320106
  59. Oxtoby, D. W., Gillis, H. P., & Nachtrieb, N. H.(2000). 현대일반화학 4판. 자유아카데미: 서울, 209-211
  60. Purves, W. K., Oriahs, G. H., & Craig Heller, H.(1996). Life (4th ed.). Harper Collins College Publishers: New York, 102-107
  61. Raymond, C.(1998). 일반화학 5판. 사이텍미디어: 서울, 411-413
  62. Sanders, M.(1993). Erroneous ideas about respiration: The teacher factor ,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8), 919-934 https://doi.org/10.1002/tea.3660300809
  63. Villee, C. A.(1994). 최신생물학. 법문사: 서울, 148-151
  64. Wallace, R. A., Sanders, G. P., & Ferl, R. J,(1996). Biology (4th ed.). Harper Collins College Publishers: New York, 111-113
  65. Zumdahl, S. S.(1996). 일반화학. 일신사: 서울, 469-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