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Agricultural Land

농지보존에 대한 수도권 주민 의식 조사 연구

  • Park, Young-Choon (Dept. of Urban Engineering, Jeonju University) ;
  • Min, Sung-Hee (Dept. of Urban Engineering, Jeonju University) ;
  • Lee, Seong-Woo (School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Rural Develop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박영춘 (전주대학교 도시공학과) ;
  • 민성희 (전주대학교 도시공학과) ;
  • 이성우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 Published : 2002.03.25

Abstract

The condition and management of land resources has become an increasing matter of concern in recent years, because of the pressure placed upon land for agricultural use by expanding populations and economic development. Pressures upon land quality can lead to various forms of land degradation, such as in soil erosion, soil fertility decline, adverse changes in water resources, salinization of irrigated areas, or decline in the biological condition of forests or rangelands. In 1992, World Bank estimates that the cost of degraded areas has been estimated as 10-50 times higher than that of measures to prevent degradation. Based upon a survey interviewed with people living in rural areas, the present study argue that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policies for preventing changes in agricultural land use, to provide early warning of adverse trends and identification of problem areas. The present study also stresses that stewardship of agricultural land resources plays a leading role in achieving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not to mention agricultural and forestry production.

Keywords

References

  1. 국토연구원, 한정된 국토와 농지의 효율적 관리방안, 안양: 국토개발연구원. 1999
  2. 김성배, 준농림지의 효율적 관리방안, 대한부동산학회, 1997
  3. 김정부, 김태곤, 김홍상, 농지의 효율적 보전방안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R382) 한국농촌경제연구원,1998
  4. 김정부 . 백선기, 외국의 농지전용허가기준, 서울: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93
  5. 김정부, 백선기, 김홍상, 전창수, 농지소유 및 전용제도 개편의 영향과 대책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R305)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94
  6. 김정호, 농지보전의 이론과 방법, 한국농촌경제연구원,1989
  7. 김정호, 농지 . 임야 전용규제의 평가와 대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94
  8. 농림부, 농업진흥지역의 지정요령, 농지 27210-115, 1991
  9. 농림부, 주요통계, 농림부 농업정보통계관실, 1998
  10. 농림부, 농촌개발계획지침, 농림부, 1999
  11. 농림부, 한국의 농지제도 및 규제, 농림부 농지과, 2000
  12. 농림부, 세계각국의 농지보존정책, 농림부 농지과, 2000
  13. 성진근, 농업의 다기능에 관한 소고,’ 99동계 심포지움자료집, 한국농업경제학회, 1998
  14. 성진근, 새천년을 대비하는 농지자원의 보전과 이용전략, 99하계 심포지움자료집 , 한국농업경제학회, 1999
  15. 성진근, 국토이용체계 개편과 농지보전 정책방향, 지속가능한 국토이용과 농지보전을 위한 정책토론회, http://www.greenkorea.org/GreenLove.htm. 2000
  16. 성진근외 5 인, 적정수준의 식량자급을 위한 농지보전 규모의 추정과 농지평가기준, 국토연구원, 1999
  17. 성진근외 2 인, 농지관련 규제개선 방안, 국무조정실, 2000
  18. 송미령, 농촌계획의 쟁점과 과제, 새국토연구협의회 창립 1주년 종합대토론회. pp. 253-286, 2001
  19. 임상봉, 효율적인 농지이용계획수립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 1995
  20. 유해웅 편, 국토공간의 개발과 보전, 국토개발연구원, 1996
  21. 장상환, 농지보전의 현황과 과제, 지속가능한 국토이용과 농지보전을 위한 정책토론회,http://www.greenkorea.org/GreenLove.htm. 2000
  22. 진영환, 21 세 기 국토이용체계 개편방안, 21세기 국토이용 개편방안 공청회자료집, 건설교통부 . 국토연구원, 2000
  23. 통계청, 농업기본통계 조사결과. 통계기획담당관설,2000
  24. 황환철 . 최수명, 농지이용계획의 합리적 책정을 위한 농지적성평가기법의 개발, http://www.ansung.ac.kr/hchYlang/papers/p5.html 1997
  25. Asian Productivity Organization. 1995. Agricultural Land Use Management in Asia. Report of an APO Seminar 8-18 November 1994. Tokyo. Japan: Asian Productivity Organization
  26. OECD. 1998. Adjustment in OECD Agriculture: Reforming Farmland Policies. Paris. France: OEC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