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eep Paralysis in Schizophrenia and Mood Disorder

정신분열병과 기분장애에서의 수면마비

  • Park, Jae-Hong (Department of Psychiatry, Dong-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ang, Chang-Kook (Department of Psychiatry, Dong-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박재홍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양창국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2.12.30

Abstract

Objectives: Although sleep paralysis (SP)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symptoms of narcolepsy, recently it has become recognized as occurring frequently in the general population. However, the prevalence of SP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major psychiatric disorders remain unknow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SP and a variety of associated experiences in those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160 psychiatric patients and 143 age- and sex-matched controls. The Korean version SP questionnaire as well as the Sleep-Wake Schedule, Epworth Sleepiness Scale and Insomnia Severity Index were administered to all the subjects. The patients were referred from Dong-A University Hospital and consisted of 74 diagnosed as schizophrenia (47.7%), 26 as bipolar disorder (16.8%) and 55 as major depression (35.5%). Results: Nearly 42% of the patient group and 39% of the control group had experienced at least one episode of SP in their lifetime,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However, the patient group had experienced SP more frequently than the control group. Among all subjects, no gender difference in SP incidence was found. The peak age of onset was in the range of 16-25 years for both groups. Over eight tenths of both groups reported hallucinations and over seven tenths of both groups experienced fear accompanying SP.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lifetime prevalence of SP between psychiatric patients and the general population, whereas frequency of SP experience is higher in psychiatric patients. Terrifying hallucinations and fearful feelings frequently accompany SP in both groups.

목 적 : 한국인들에게 가위눌림이라고 알려진 수면마비는 일반인들이 흔히 경험하는 현상이지만, 주요 정신질환에서의 발생율과 특성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분열병 및 기분장애 환자와 일반인에서의 수면마비 발생율을 비교하고 그들이 경험하는 수면마비의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는데 있다. 방 법 : 2002년 4월부터 9월까지 부산 소재 일 대학병원 정신과 입원 및 외래 환자 중 정신분열병, 양극성 정동장애, 또는 주요 우울증으로 진단 받은 환자들과 부산시내 거주하는 건강한 성인들을 대상으로 가위눌림 경험 설문지, 수면-각성 일정 설문지, 불면증 척도, 졸음 척도 등을 시행하였다. 결 과 : 단독성 수면마비 발생율은 환자군이 41.9%, 대조군이 38.7%이었다.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중증과 중등도 수면마비의 비율이 높은 반면, 대조군은 환자군에 비해 경도 수면마비의 비율이 높았다(p<0.05). 수면마비의 첫 삽화를 경험한 나이는 두 군 모두 주로 $16{\sim}25$세에 분포하였다. 수면마비의 발생시간은 환자군과 대조군 모두 입면시와 각성시에 비해 수면 중간의 경험(환자군 52.3%, 대조군 63.6%)이 많았다(p<0.001). 환자군의 38.5%와 대조군의 38.2%는 수면마비를 경험하기 전 신체적, 심리적 스트레스가 선행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환각은 수면마비에서 흔히 동반되는 증상이었으며(환자군 90.8%, 대조군 85.5%),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면마비시 경험하는 감정으로는 공포(환자군 72.3%, 대조군 80.0%)가 가장 많았다. 결 론 : 정신분열병과 기분장애 환자들의 수면마비 발생율은 일반인들의 그것과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환자들은 일반인보다 수면마비를 경험하는 횟수가 더 많았다. 수면마비에는 흔히 다양한 환각과 공포가 동반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