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aper Fly Ash as Stabilization/Hardening Agent

지반개량재로서 제지회의 활용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02.01.22
  • Published : 2002.06.01

Abstract

Examined a practical use possibility of paper fly ash that is industrial by-product as a stabilization/hardening agent. Performed unconfined compression test,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pH analysis etc. for 100% paper fly ash-soil mixtures and each paper fly ash-soil mixtures that add cement as the second addition and sulfate component of small quantity for strength promotion and so on. In all cases, strength of admixtures increased according as curing time and mixing ratio increases but almost strength is revealed at mixing early and expressed maximum strength increase efficiency at mixing ratio 9% with raw soil. Compare with the case that use paper fly ash only, in case of cement amount 10~30% was included in paper fly ash, strength of admixtures increases two times and 40% was included, that increases from five to eight times.

산업부산물인 제지회의 연약지반 표층고화처리 등을 목적으로 하는 지반개량재로써의 활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100% 제지회와 강도증진 등을 위한 2차 첨가재로써 시멘트 및 소량의 황산염(sulfate)성분을 첨가한 각각의 제지회 혼합토에 대하여 일축압축강도, 전자주사현미경관찰, pH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양생이 진행됨에 따라서, 혼합비의 증가에 따라서, 혼합토의 강도는 증가하나 혼합초기에 거의 대부분의 강도가 발현되며 강도증가 효율면에서는 흙과의 혼합비가 9% 내외에서 최대 효율을 나타낸다. 제지회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지회에 함유된 시멘트량이 10~30%까지는 약 2배의 강도가 증가하며 시멘트 함유량이 40%일 경우에는 5~8배 정도 강도가 증가한다. 포졸란 반응 및 수화물의 생성에 유리한 환경을 나타내는 조건은 시멘트 함유량이 20%이상의 제지회를 7%이상 흙과 혼합했을 경우이다. 제지회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화반응 또는 포졸란 반응이 활발하지 못하며, 흙과의 혼합비가 10% 이상에서 활발하게 유산석회수화물이 생성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