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Night Illumination on Growth and Grain Yield of Wheat and Barley

야간조명에 대한 대ㆍ소맥의 생육 및 수량반응

  • Published : 2002.03.01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ight illumination on the growth and yield of wheat and barley. Three varieties of barley and four cultivars of wheat were tested under the different night illuminance which was controlled in the range of 1.2∼20 Lux during whole growth season at night. As night illumination was stronger, the culm length of all varieties tended to be shorter. The shortening was greater in barley than wheat. Node number, awn length and culm diameter tended to decrease as the light intensity was stronger. Internode length above the 4th and 5th node was remarkably decreased by the stronger illuminance. The degree of decrease in spike length affected by the night illuminance was much larger in the late-maturing variety among wheat cultivars. As night illumination was stronger, days to heading was shortened in general. The range of decrease was 2 to 10 days under 10∼20 Lux condition similarly in both barley and wheat. Effect of night illumination on heading date and days from initial heading to full heading was not considerably different between the crops and among varieties except Kangbori. Night illumination decreased the grain yield by 12.5% in barley, and 11.0% in wheat at 2.1∼5.0 Lux condition, and 34.6% in barley, and 29.3 % in wheat at 10∼20 Lux condition compared to control. Yield redu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varieties, being greatest in Kangbori among barley varieties, and in Chokwang (late-maturring variety) and Changkwang (late-maturring variety) among wheat varieties. It was interpreted that the decrease of grain yield was resulted from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spikes and the number of grains per spike under the stronger night illumination. The decrease of grain yield was more directly attributed to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grains per spike.

야간조명이 주요 밀ㆍ보리 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작물시험장 포장에서 나트륨 등을 이용하여 1.2∼20 Lux가 되게 야간조도를 조절하여 일몰 후부터 일출 전까지 전 생육기간 동안 매일 점등을 실시하였고, 2 Lux이하, 2.1∼5.0 Lux, 5.1∼10 Lux, 10∼20 Lux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대맥 3품종 (강보리, 서둔찰보리, 올보리)과 소맥 4품종(금강밀, 그루밀, 조광, 장광)을 공시하여 실험하였다. 야간조도에 따른 대ㆍ소맥의 성숙기 간장은 조도가 높아질수록 모든 품종에서 단간화되는 경향을 보였고, 파성 I인 강보리의 변이가 가장 심하였으며, 소맥보다 대맥의 간장변이가 더 심하였다. 절수, 망장, 간직경은 전반적으로 야간조도의 증가에 따라 다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간ㆍ품종간 차이는 크지 않았다. 야간조도 증가에 따른 대맥의 절간장 감소는 상위 4ㆍ5절 이상에서 심하였으며, 수장의 감소 정도는 대ㆍ소맥이 비슷하였으나. 소맥품종 간에는 숙기가 늦은 품종일수록 영향을 크게 받았다. 출수소요일수는 야간조도 증가에 따라 단축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단축정도는 10∼20 Lux에서 2∼10일로 대ㆍ소맥이 비슷하였고, 출수기와 수전일수도 강보리를 제외하고는 품종간ㆍ맥종간 차이가 크지 않았다. 야간조도 증가에 따른 수량 감소는 2∼5 Lux 조건에서 대맥 12.5%, 소맥 11.0%였으며, 10∼20 Lux에서는 대맥 34.6%, 소맥 29.3% 의 감소를 보여, 조도의 증가에 따라 수량이 감소되었으며, 소맥보다 대맥의 감소정도가 더 심하였다. 품종간에는 대맥은 파성이 낮은 강보리(I)가, 소맥은 숙기가 늦은 조광, 장광이 조도 증가에 따른 수량감소가 심하였다. 천립중은 야간 조도 증가에 따라 다소 증가 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 차이가 크지 않았다. 야간조도 증가에 따른 수량감소의 주 원인은 수수와 일수립수의 감소에 의한 것으로 보이며, 수수보다는 일수립수의 감소가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조장환, 1974: 소맥의 출수기 유전에 관한 연구. 한국작물학회지, 15-31.
  2. 조장환, 정태영, 1979: 온도 및 일장조건이 소맥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지, 24(2), 35-41.
  3. 하용웅, 1989: 맥류의 출수기에 관한 연구. VI. 광질이 대맥의 출수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지, 34(2), 184-191.
  4. 김충국, 서종호, 김동휘, 1998: 야간조명이 주요 콩 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논문집 직작논문집(I), 40(2), 155-159.
  5. 김충국, 서종호, 조현숙, 김시주, 허일봉, 1999: 야간조명에 따른 콩의 생태형별 생육반응. 한국작물학회지, 44(별1), 410.
  6. 김충국, 서종호, 조형숙, 김시주, 허일봉, 2000: 야간조명에 의한 벼 품종별 출수 반응. 한국작물학회 추계발표회지, 45(별2), 155-156.
  7. 김봉구, 조장황, 하용웅, 남중현, 1979: 소맥 주요형질의 유전 및 선발효과에 관한 연구. II. 소맥의 출수기에 관여하는 파성, 일장반응, 협의의 조만성 및 내한성 교배진의 선택. 한국육종학회지. 11(1), 24-42.
  8. 김이열, 김홍부, 조장환, 1980a: 일장처리가 맥류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홍기창박사 회갑기념논문집, 136-141.
  9. 김이열, 김홍부, 조장환, 1980b: 일장조선에 따른 맥류의 숙기 및 수량구성요소의 품종간 차이. 한국작물학회지, 25(2), 31-37.
  10. 김수욱, 1995: 농촌주민의 기초 수요 조사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지, 2(1), 41-51.
  11. Major, D.J., 1980: Photoperiod response characteristics controlling flowering of nine crop species. Canadian Journal of Plant Science, 60, 777-784.
  12. Masanori Inagaki and Sumio Masuda, 1984: Heading responses to temperature and daylength in barley varieties. Japan. J. Breed, 34, 423-430.
  13. Saini, A.D. and R. Nanda, 1987: Analysis of temperature and photoperiodic response to flowering in wheat. Indian J. of Agricultural Sci., 57, 351-359.
  14. Slafer, G.A. and H.M. Rawson, 1994: Rate of leaf appearance and final number of leaves in wheat : Effects of duration and rate of change of photoperiod. Annals of Botany, 74, 427-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