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ntribution to the National Economy System of Unpaid Household Labor

무보수 가사노동의 국민경제에 대한 기여도 평가

  • 문숙재 (이화여자대학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
  • 윤소영 (이화여자대학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
  • 김은희 (이화여자대학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 Published : 2002.10.01

Abstract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for the estimation of the value of unpaid household labor within the national economy system to be reflected in the related policy-making. By measuring economic value of unpaid household labor and estimating the ration to GDP,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productivity of the unpaid household labor and thus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socio-economic status of women. Especially, it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of estimating unpaid household labor as a method applicable to the present economic and legal system. To organize the method of economic valuation of unpaid household labor and calculate the ration to GDP, this study used three approaches: replacement cost method individual function, replacement cost method generalist and opportunity cost method. Although the estimated result revealed that the economic value of unpaid household labor showed a great extent of deviation according to the estimating methods and the wage rate, total value of household labor ranged from one hundred and thirty eight to two hundred and thirty trillion wens, about 28-48% of GDP in Korea.

Keywords

References

  1. 김선희(1991). 가사노동의 경제적 가치평가에 관한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미간행)
  2. 김애실(1985). 가사노동의 경제적 가치. 여성연구, 3(4), 25-47
  3. 김정희(1993). 한국주부의 가사노동 시간과 경제적가치 평가. 대한가정학회지, 31(4), 37-52
  4. 김정희(1994). 한국 주부의 가사노동의 경제적 가치평가와 대(對) GNP 비율 추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미간행)
  5. 김정희(1999). 주부의 가사노동의 경제적 기여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2), 19-30
  6. 김준영(2001). 주부 가사노동가치평가, 국민경제적기여도 분석 및 제도적 연구 통계청(편) 1999 생활시간조사 종합분석사업보고서 (2001. 10). 1-96
  7. 김태홍(2001). 무급노동의 경제적 가치평가와 정책화 방안, 한국여성개발원. 여성부. UNDP주최. 여성의 무급노동 평가와 정책화를 위한 세미나(2001. 4. 27). 45-107
  8. 노동부(2000). 1999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보고서
  9. 문숙재(1990). 가정생산(가정노동의 샘산성과 평가를 위한 접근). 서울: 신광출판사
  10. 문숙재(1991). 가사노동의 가치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2), 285-302
  11. 문숙재, 윤소영(1997). 가사노동의 정책적 반영을 위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1), 41-52
  12. 문숙재, 윤소영(1998). 가사노동의 정책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가사노동의 측정을 위한 제안. 대한가정학회지, 36(4), 35-48
  13. 문숙재, 윤소영(2001). 가사노동 가치평가를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분석, 통계청(편). 1999 생활시간조사 종합분석사업보고서 (2001. 1. 10). 97-194
  14. 문숙재, 정영금(1991). 주부의 사고 발생시 손해배상액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9(4), 41-52
  15. 문숙재, 정영금(1993). 재산형성에 대한 주부의 기여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1(1), 13-24
  16. 문유경(2001). 여성의 무급노동 시간사용분석과 정책방안, 한국여성개발원. 여성부, UNDP주최. 여성의 무급노동 평가와 정책화를 위한 세미나(2001. 4. 27). 3-41
  17. 여성부(2001). 무보수 가사노동 위성계정 개발을 위한연구. 여성부 정책자료 2001-23
  18. 윤소영(1998). 가사노동의 정치화를 위한 정책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미간행)
  19. 윤소영(1999). 가사노동의 정책요구 및 정책목표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2), 31-42
  20. 이기영 외(1997). 한일양국간 도시부부의 생활시간 비교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4), 145-162
  21. 정무장관(제2)실(1997) 가사노동 가치평가기준과 제도화 방안. 정무장관(제2) 실정책자료집
  22. 정영금(1989). 가사노동 가치평가를 위한 방법론적모색.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미간행)
  23. 조희금(1998). 사무직 기혼여성부부의 가사노동분담 실태 및 영향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 147-154
  24. 최명숙(1986). 한국 주부의 가사노동의 경제적 가치산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미간행)
  25. 통계청(1992). 한국표준직업분류
  26. 통계청(2000) 1999 생활시간조사보고서
  27. 통계청(2000). 2000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28. 통계청(2001). 2001 경제활동인구연보
  29. Kulshreshtha, A. C. & Singh Gulab (1999). Valuation of non-market household production. Paper presented at Time Use Seminar, Ahmedabad, India, December 1999, 7-10
  30. OECD National Accounts (2000). Household production in OECD Countries: Data sources and measurement method. National Accounts Publications
  31. Reid, M. (1934). Economics of Household production. New York: John Wileyand sons
  32. UNDP(1995). Human Development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