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 배합을 달리한 브라운소스의 저장 중 품질 특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ombination of Brown Sauce during Storage

  • 발행 : 2002.12.01

초록

소뼈의 일부를 돼지뼈와 닭뼈로 대체하고 와인을 첨가한 것과 와인을 첨가하지 않은 4종류의 브라운소스의 저장 중 품질변화를 pH, 효소활성, 환원당 등의 이화학적 특성과 소스의 색, 점도를 중심으로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4종류의 브라운소스의 pH는 5.0~5.6이었다. 와인이 첨가되지 않고 돼지뼈로 대체한 소스가 5.51~5.56으로 가장 높았고 와인 첨가되고 닭뼈로 대체한 소스의 pH가 5.0~5.06으로 가장 낮았으며 시일 경과에 따른 pH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2. $\alpha$-amylase의 활성은 와인이 첨가되고 닭뼈를 대체한 소스가 가장 높았고 그밖의 소스는 효소 환성이 유사한 정도로 낮았다. 저장 기간 중 효소 활성은 2~6일 사이에 높아졌다가 그 이후에 떨어졌다. 3. 환원당 함량은 와인이 첨가되고 닭뼈를 대체한 소스가 35.5%로 가장 높았고 와인이 첨가되며 돼지뼈를 대체한 소스는 18.2%이었으며 와인이 첨가되지 않은 소스는 첨가된 소스보다 환원당 함량이 낮았다. 저장 10일 후의 환원당 함량 변화는 크지 않았으며 일관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4. 소스의 색은 와인 첨가된 것이 첨가되지 않은 것보다, 동일 조건에서 닭뼈를 대체한 것이 돼지뼈를 대체한 것보다 L, a, b값이 낮았다. 따라서, 와인이 첨가되고 닭뼈로 대체한 소스는 L, a, b값이 가장 낮았고 색이 가장 진했다. 또한 냉장 저장한 후의 브라운소스의 색은 L, a, b값이 모두 낮아져서 색이 진해지는 변화를 보였다. 5. 브라운소스의 점도는 와인이 첨가되지 않고 닭뼈로 대체된 소스의 점도가 가장 높고 와인이 첨가되고 닭뼈로 대체된 소스의 점도가 가장 낮았으며, 와인이 첨가되지 않은 소스는 와인이 첨가된 소스보다 점도가 높았다. 저장 시일이 경과됨에 따라 모든 소스는 효소 활성이 증가하기 전인 2~6일까지 점도가 높아졌으나 그 후에는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으로 4종류의 소스 중 와인을 첨가하고 닭뼈를 대체한 소스는 $\alpha$-amylase 활성이 높아 환원당 생성이 가장 많았고 환원당에 의한 갈변반응이 잘 일어나 색이 진했으며 저장 중의 점도 변화도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wine and different meat bones added in brown sauce. Four kinds of brown sauce were prepared to find the changes of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such as pH, $\alpha$-amylase activity, color, viscosity and microorganisms in brown sauce during storage at 4$\^{C}$. The pH of 4 kinds of brown sauce ranged from 5.0 to 5.6, and these pH ranges were stable during storage period. The activity of $\alpha$-amylase was the highest in the brown sauce made with wine and some of chicken bones and the sauces stored for 2 ∼ 6 days. The brown sauce made with wine and some of chicken bones had 35.5% of reducing sugar, which was the highest among 4 kinds of brown sauce, and had the darkest color. Also the brown sauce with wine and some of chicken bones shooed low values of L, a, b after storage and the lowest viscosity among 4 kinds of brown sauce. But they all tended to have higher viscosity during storage, especially two days after. The sauce made with wine and some of chicken bones showed the least change of viscosity and the addition of wine in the sauce appeared to inhibit the microbial growth.

키워드

참고문헌

  1. 최수근 : 소스의 이론과 실제. pp.41~48, 형설출판사, 서울, 1999
  2. Craeknell, HL and Kaufmann, RJ : The Complete guide to the art of modern cookery. pp.1~17,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1990
  3. 中村勝奐 : Fund and sauce. p.44, 梨田書店, Japan, 2000
  4. Cousminer, JJ : Savor fruit-based salsas. Food Technology, 50(1),70,1996
  5. 오승일, 이수근 : 식음료관리. p.367, 명보출판사, 서울, 1983
  6. 정청송 : 서양조리학(하). pp.423~442, 기전연구사, 서울, 1983
  7. Johnson and Wales University of Culinary Arts. p.187, Harborside Press, U.S.A., 1997
  8. 서양요리백과. p.653, 호텔신라서비스교육센터, 서울, 1998
  9. Charlotte, T : Good french cooking. pp.19~23, Hamlyn Publishing Group Limited, New York, 1964
  10. Kim, SK : Optimization of cooking condition of brown sauce by sensory evaluation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Master thesis, The Dongguk University of Korea,1997
  11. James, P : Sauces. pp.110~115,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998
  12. Choi, SK : The Effect of sauce on the menu. Master thesis, The Kyung Hee University of Korea, 1994
  13. Oh, C : Sensory properties and viscosity of bechamel sauce by cooking methods and ratio of raw materials. Master thesis, The Dankook University of Korea,1993
  14. Kim, YS : Physi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own stock and brown sauce made with pork bone. Master thesis, The Dankook University of Korea, 1997
  15. Choi, SK :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stock extracted by high pressure cooking method. Doctoral thesis, The Young Nam University of Korea, 2001
  16. Kwon, HY : Food scientific characteristics of brown sauce stock. Master thesis, The Sungshin Women's University of Korea, 1990
  17. Oh, HI, Shon, SH and Kim, JM :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Kochujang prepared with Aspergillus oryzae, Bacillus licheniformis and Saccharomyces rouxi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2):410~416, 2000
  18. Miller, GL :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426~ 428, 1959 https://doi.org/10.1021/ac60147a030
  19. 안명수, 우경자 : 조리과학실험, p.157-159, 수학사, 서울, 1991
  20. Cho, DH and Lee, WJ : Microbiological studies of Korean native soy-sauce fermentation. J. Korean Agri. Chem. Soc., 13:35~42, 1970
  21. 정충영, 최이규 :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pp.216~ 245, 무역경영사, 서울, 2000
  22. 이규한 : 식품화학, pp.218~219, 형설출판사, 서울,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