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mass and Feeding Rate of Eisenia fetida Populaton when Precomposted Mixture of Food Waste and Night Soil Sludge was Supplied as Food

전처리된 음식물 쓰레기와 인분케익의 혼합물 급이시 온도에 따른 줄지렁이 개체군의 생체량 및 먹이 섭식효율

  • 배윤환 (대진대학교 생명과학과) ;
  • 심미진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
  • 나영은 (농업과학기술원 환경생태과)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Food waste which had been mixed with night soil sludge and composted for 21 days (mixing ratio = food waste/paper mill sludge : 1, w/w) was supplied to the 5 g of Eisenia fetida popualtion at various temperatures (5, 6, 7, 8, 9, 10, 15, 20, 25, 30, 31, 32, 33, 34, 35$^{\circ}C$). The biomass of earthworms one month after feeding at 20-32$^{\circ}C$ was about two times more than that of the introduced earthworms, increasing rate of which was much higher than them at the other tested temperatures . There were decreases at temperatures below 7$^{\circ}C$, and less increases at temperatures of 8-10$^{\circ}C$ in biomass. Earthworms could not survive at temperatures at 34$^{\circ}C$ and 35$^{\circ}C$. Feeding rates of earthworms were much higher at 20-32$^{\circ}C$ than them at the other tested temperatures,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m at temperatures of 20-32$^{\circ}C$. But at 3 months after feeding, the biomass and feeding rate of earthworms decreased severely even at 20$^{\circ}C$ and 30$^{\circ}C$, which was supposed to be due to the long term effect of salts, especially sodium chloride (NaCl) in the food wastes.

서울시 도봉구 음식물 처리장에서 파쇄,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서울시 난지도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한 인분케익과 무게비 1 : 1로 혼합하여 21일간 부숙시킨 부숙물을 먹이로 급이하면서, 서로 다른 온도(5, 6, 7, 8, 9, 10, 15, 20, 25,30, 31, 32, 33, 34, 35$^{\circ}C$)에서 줄지렁이의 생체량 및 섭식속도를 조사하였다. 먹이 급이 1개월 후 줄지렁이의 생체량이 20-32$^{\circ}C$에서는 약 2배정도 증가했으며, 34$^{\circ}C$ 이상에서는 줄지렁이가 사멸하였고, 8-1$0^{\circ}C$ 에서는 증가량이 현저히 작아졌으며, 7$^{\circ}C$이하에서는 생체량이 오히려 감소하였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함에 생체량이 감소하였는데 이것은 음식물 쓰레기내 염분이 지렁이 체내에 축적되어 나타난 부작용인 것으로 판단된다. 20-31$^{\circ}C$에서 줄지렁이의 섭식속도는 온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15$^{\circ}C$ 이하에서의 섭식 속도보다 월등하게 높았으며 34$^{\circ}C$ 이상에서는 지렁이 사멸로 섭식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줄지렁이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과 인분케익을 혼합하여 전처리한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고자 할 경우 20-31$^{\circ}C$의 온도 조건이 15$^{\circ}C$ 이하나 34$^{\circ}C$ 이상보다 훨씬 효율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전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3개월째 급이하였을 때 생체량과 섭식속도가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이것은 음식물 쓰레기내의 염분이 지렁이 체에 축적되어 생긴 생리적 부작용으로 판단되며, 향후 음식물 쓰레기 전처리시 음식물 쓰레기내의 염분농도를 저하시키는 문제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