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Irradiation Crosslinking and Molecular Weight Properties on Crosslinked PP Foaming Process

전자선 조사량과 분자량 특성이 전자선 가교 PP 발포 가공에 미치는 영향

  • 홍다윗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공학과) ;
  • 윤광중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공학과) ;
  • 백운선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공학과) ;
  • 정영헌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공학과) ;
  • 이준길 (호남석유화학)
  • Published : 2002.07.01

Abstract

The effects of the crosslinking caused by irradiation dose, molecular weights of the foaming materials, and various foaming processes on the foam structure of the polypropylene (PP) were investigated. The maximum gel content of the PP was 48% when the sheet was irradiated with 3.2 Mrad. This high gel content improved the cell structures by providing high thermal stability. The increase of both the gel content and structural development were stopped at the irradiation dose exceeding 3.2 Mrad. The increase of the molecular weights served to help produce a foam with particularly fine and even cell structures, along with improved thermal stability as well.

폴리프로필렌 (PP)의 전자선 가교 발포 공정에 있어서 전자선 조사량과 발포재료의 분자량 및 다양한 발포 공정이 발포체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하였다. 가교된 PP의 겔분율은 3.2 Mrad의 전자선 조사량에서 4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발포체의 셀 균일성과 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나타내었다. 3.2 Mrad 이상의 전자선 조사량에서 겔분율이 48%에서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으며, 발포체 구조 향상에도 더 이상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전단 점도와 겔분율을 나타내며 보다 균일하고 미세한 셀 구조를 형성하고, 열안정성이 높은 발포체를 형성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U. S. Patent 4,424,293 A. Nojiri;T. Sawasaki;T. Koreeda
  2. J. Appl. Polym. Sci. v.32 Y. D. Lee;L. F. Wang https://doi.org/10.1002/app.1986.070320428
  3. Furukawa Rev. v.2 A. Nojiri;T. Sawazaki;T. Konishi;S. Kudo;S. Onobori
  4. Radiat. Phys. Chem. v.26 no.3 A. Nojiri;T. Sawasaki https://doi.org/10.1016/0146-5724(85)90074-3
  5. U. S. Patent 5,786,406 N. Uejyukkoku;Y. Nakutsu
  6. U. S. Patent 5,116,881 J. J. Park;L. Katz;N. G. Gaylord
  7. SPE-ANTEC Tech. Papers v.36 M. B. Bradley;E. M. Phillips
  8. U. S. Patent 5,786,406 N. Uejyukkoku;Y. Nakutsu
  9.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74th ed.) D. R. L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