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Effects of Radio Traffic Information on Urban Worker's Travel Choice Behavior

교통방송이 제공하는 교통정보가 직장인의 통행행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Published : 2002.10.01

Abstract

Travel choice behavior is affected by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Recently, in urban area,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is provided by several instruments such as transportation broadcasting, internet PC network and variable message sign, etc. Furthermore, it has been increasing for urban travelers to use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provided by several instru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on urban worker's travel choice behavior. Among several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ATIS) employed in urban area.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effects of transportation broadcasting on urban worker's travel choice behavior.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raveler's mode change behavior in the pre-trip stage and traveler's route change behavior in the on-route stage. For this study, the survey data collected from Daegu City in 2000 is used. For empirical analysis, several nested logit models are estimated, and among them, the best models are reported in this paper. Furthermore, based on the empirical models estimated for this research, important findings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교통방송이 제공하는 교통정보가 직장인의 통행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직장인의 통행전 교통수단 변경여부와 통행중 노선 전환행태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통행자가 통행전 또는 통행중에 교통방송이 제공하는 실시간 정보를 접했을 때 나타나는 행태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대구시에 있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현시선호자료(revealed preferences data)와 잠재선호자료(stated preferences data)를 수집하였고, 이 자료를 이용하여 네스티드 로짓모형을 추정하고 그 결과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직장인의 통행전 교통수단 변경여부와 통행중 노선 전환여부 선택행태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행자의 통행중 노선 전환여부 선택에는 첨두시에는 나이, 성별, 통행시간, 청취빈도, 인지노선수, 사고정보가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비첨두시에는 첨두시와는 달리 통행시간이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통행자의 통행전 교통수단 변경여부 선택에는 첨두시와 비첨두시 공히 나이, 성별, 통행시간, 시간여유, 청취빈도, 사고정보가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모형의 경험적 추정결과는 본 연구에서 가설화된 네스티드 로짓모형의 타당성을 입증케 한다. 즉 통행 전 교통수단 변경여부의 선택과 통행중 노선 전환여부의 선택은 상호 밀접한 관련을 가지면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직장인이 통행전에 교통정보를 접하고 교통수단 변경여부를 선택할 상황에서도 향후 나타날 통행중 노선 전환여부의 선택상황까지도 고려하여 의사결정을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ing strategy) 문제를 인식하고, 이 차량들을 링크상의 교통량 전파조건(flow propagation constraint)을 토대로 다음 통행배정 시간대의 실시간 수요로서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여도 취소소송의 대상으로 삼도록 하는 보다 명확하고 일관성 있는 논의전개를 제안하였다.수 있었다.로 첨가하여 48시간 배양한 후 암항원 유전자 발현성을 측정한 결과 세포주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대개 0.2 uM농도에서도 유전자 발현이 유도되었으며 1, 5 uM농도에서 매우 강하게 유도되었다. ADC 처리가 페암세포주의 MHC와 B7 발현을 증가시키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1 uM 농도의 ADC를 72시간 처치한 후 FACS 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페암세포주에서 MHC 및 B7분자의 발현은 유도되지 않았다. 또 ADC농도가 세포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ADC를 0.2, 1, 5 uM농도로 96시간 처치 후 세포수를 측정하여 상대성장지수를 알아본 결과 ADC 처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세포의 성장은 매우 감소하였다. 결론: 폐암세포주에서 ADC처치는 MAGE, GAGE 및 NY-ESO-1과 같은 세포독성 T 림프구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암항원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ADC의 세포독성과 항원 발현 유발시간을 분석할 때 1 uM 농도에서 48시간 처치한 후 ADC가 없는 배지에서 수일간 배양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ADC를 처치하여도 MHC 및 B7의 발현의 변화는 없었으므로 ADC를 처치한 폐암세포를 암백신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MHC나 B7 및 cytokine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추가적인 처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ded.한 질소제거를 N-balance로부터 구해보면, R3 반응조의 경우가 가장 높은

Keywords

References

  1. 대한교통학회지 v.18 no.3 대학출근운전자의 노선선택 및 전환행태 모형 김경환;김태형;서현열
  2. 국토계획 v.33 no.4 비반복 도로혼잡시 교통정보제공에 따른 출발시간대별 통행수요변화 연구 신동호;임용택;박정근
  3. 국토계획 v.31 no.5 통행자의 출근 통행형태에 미치는 교통정보의 영향에 관한 연구 원제무;최기주;황준환
  4. 교통수요분석-이론과 모형 윤대식
  5. 국토계획 v.36 no.2 교통정보 제공에 따른 통행자의 통행형태 변화 분석 윤대식;김상황
  6. 도시모형론-분석기법과 적용 윤대식;윤성순
  7. 국토계획 v.33 no.4 교통정보가 통행자 노선전환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영인;문승라
  8. 국토계획 v.36 no.7 교통정보 제공이 고속도로 통행시간 절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준화;원제무;김상구
  9.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453 Models of Commuters' Information Use and Route Choice : Initial Results Based on Southern California Commuter Route Choice Survey Abdel-Aty,M.A.;K.M.Vaughn;R.Kitamura;P.P.Jovanis;F.L.Mannering
  10. Transportation Research-A v.30 no.2 Variable Message Signs and Radio Traffic Information : An Integrated Empirical Analysis of Drivers' Route Choice Behaviour Emmerink;RichardH.M.;P.Nijkamp;P.Rietveld;JosN.Van Ommeren
  11. LIMDEP User's Manual and Reference Guide, Version 6.0 Greene,W.H.
  12.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607 Empirical Results from Taiwan and Their Implications for Advanced Traveler Pretrip Information Systems Jou,R.C.;T.Y.Hu;C.W.Lin
  13. Transportation Research-A v.31 no.3 The Impact of Adverse WSeather Conditions on the Propensity to Change Travel Decisions : A Survey of Brussels Commuters Khattak, Asad J.;A.De Palma
  14.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621 Comparative Analysis of Spatial Knowledge and En Route Diversion Behavior in Chicago and San Francisco : Implications for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s Khattak, Aemal J.;Asad J. Khattak
  15.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285 Characteristics of Urban Commuter Behavior : Switching Propensity and Use of Information Mahmassani,H.S.;C.G.Caplice;C.M.Walton
  16. Working Paper No.7623 The Theory and Practice of Disaggregate Demand Forecasting for Various Modes of Urban Transportation. McFadden,D.
  17.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453 Influence of Traffic Information on Drivers' Route Choice Behavior Polydoropoulou,A.;M.Ben-Akiva;I.Kay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