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신개간 및 기경작 초지토양간 목초의 생산성과 무기양분 함량 비교 II. 석회 시용에 따른 토양특성, 목초의 초기생육, 수량 및 무기양분 함량 변화

Comparisons of the Forage Productivity and Mineral Contents Between the Newly Reclaimed and Arable Pasture Soils II. Changes in the soil properties, vigour at early growth, yields, and mineral nutrients of forages as affected by lime application

  • 정연규 (순천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발행 : 2002.12.01

초록

동일한 토양종류(토양명: 송정통)인 인접한 토양에서 신개간지와 다소 숙전화 된 기경작 초지토양 간의 비옥도 특성과 시비처리별 목초 생산성과 무기양분 함량차이를 비교.검토하고 자 기초시험으로 pot 시험을 수행하였다. 초지 토양의 비옥도 개량에 연관된 퇴비(I보), 석회 (II보) 및 인산(III보)의 시용효과를 단계별로 검토하였다. 본보(II)에서는 3요소 및 고토를 동일하게 기본시비를 한 조건에서 1) 무석회구, 2) 석회 보비구(27g), 3) 석회 다비구(54g, CaCO$_3$/pot)를 처리내용으로 한 두 토양간 석회의 비효를 비교.검토하였다. 1. 시험전 신개간지와 기존초지간 토양의 화학성(비옥도)에 큰 차이를 보였다. 초지토양 비옥도 등급기준(불량-보통-양호)에 기준 한 각 화학성을 신개간지 토양 ↔ 기경작 초지토양간의 차이를 일반적으로 비교하면 불량/보통 ↔ 보통/양호수준을 보였다. 2. 시험 후 토양특성의 변화를 보면 석회시 비로 두 토양 공히, 유효인산 함량은 약간 감소되었고, 유기물 함량은 변화를 보이지 안 했으며 치환성 Ca과 mg 함량이 높아졌다. 인산 흡수계수는 신개간 토양에서 크게 높아졌으나 기경작 초지토양에서는 석회 다비구에서 만 크게 높아졌다. 석회시비에 따른 유효인산 함량 의 저하와 인산흡수계수 상승의 부정적 영향을 퇴비와 병행시비의 경우 개선되었다. 3. 목초의 초기 생육상은 신개간지보다 기경작 초지토양에서 매우 양호하였고, 각 토양 공히 석회 다비구에서 불량해 진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퇴비와 병행된 석회시비는 석회 단독 시비조건보다 크게 초기생육상이 양호해 졌다. 4. 목초의 수량은 대조구에서 신개간지에 비해 기경작 초지토양에서 50.9%의 더 높은 생산성을 보였다. 석회 보비구에서 각 토양 공히 대조구보다 15-18% 정도 증수하였고 반면에 석회 다비구는 보비구와 비슷하거나 다소 낮야지는 경향을 보였다. 5. 기경작 초지토양의 목초 중 Ca, mg 및 P 함량이 신 개간 토양의 목초 중 함량보다 다소 높았고 석회 보비구에서 Ca, mg 함량이 높아 졌으나 석회 보비구와 다비구간 차이는 경미하였다.

This po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forage productivity and contents of mineral nutrients in an orchardgrass sward affected by the compost lime, and phosphorus applications on the newly reclaimed and arable pasture soils. This 2nd part was concerned with the effect of lime application(L$_{0}$=control, L$_1$=279, L$_2$=54g CaCO$_3$/pot).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 newly reclaimed and arable pasture soils in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as follows in general; poor/common in the newly reclaimed soil longrightarrow and common/good in the arable pasture soil in terms of soil fertility standard. 2. It was recognized that the lime application was resulted in somewhat decrease of the concentrations of available P$_2$O$_{5}$ and increase of P$_2$O$_{5}$ absorbtion coefficient in the newly reclaimed soil, whereas these negative effects were positively enhanced by both lime and compost applications. The concentrations of exchangeable Ca and mg in both soils were increased by lime application. 3. The vigour at early growth stage of orchardgrass was better in the arable pasture soil than newly reclaimed soil. It was worsened by the heavy lime application(L$_2$), but this negative effect was positively enhanced by both lime and compost application. 4. Compared with the non-lime application, the forage yields of L$_1$ treatment were increased in both soils by 15~18%. whereas it of L$_2$ treatment was similar or lower than it of L$_1$. 5. The concentrations of Ca, mg, and P in orchardgrass were relatively higher in the arable pasture soil than the newly reclaimed soil, whereas there it was no difference in the K concentration. It was recogniz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mg and Ca in orchardgrass were higher in the L$_1$ treatment than the Lo treatment in both soils, whereas there were no difference in it between L$_1$ and L$_2$ treatments.m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Shin, Y.H. 1972. The description and classification of Korean soils. ASPAC Technical Bulletin No. 10
  2. Toth. 1964. Recited from soil & soil related problems. In: Hansen, Turfgrass Sciences. ASA. 101
  3. Weinberger, P. 1979. 한국에 있어서 산지의 초지개량기술. 한초지, 1(2); 7-13
  4. Weinberger, P. 1982. 산지초지조성을 위한 임야지의 제특성. 한초지, 3(1); 10-11.
  5. 農技會. 1967. 草地土壤生産力に 關する 硏究. 農林水産技術會, 硏究成果, 31:16-22
  6. 原田勇. 1979. 牧草의 營養과 施肥. 養賢堂, 東京. 4-6
  7. 농진청. 1974. 신개간지 영농기술. 농촌진흥청, 11-55
  8. 농진청. 1982. 산지초지조성과 이용. 농촌진흥청. 35-46, 126-127, 196-209
  9. 농진청. 1983. 농사시험연구 조사기준. 농촌진흥청, 개正 第1판; 식물환경 및 사료작물편
  10. 유인수. 1978. 산지토양의 특성 및 개량. 한토비지, 11(4): 247-262
  11. 이종기. 1970. 지역별 목초의 영양진단. 식환연구보고서, 4-695-714
  12. 정연규. 1984. 초지토양관리와 비료. 한국가리연구회
  13. 정연규, 박병훈, 이종열 외. 1982. 석회 및 3요소 시용수준이 겉뿌림 산지초지에 미치는 영향(I-IV보), 한축지, 24(6); 493-516
  14. 정연규, 이종열. 1986. 산지경사도 및 3요소 시용수준이 초지토양 및 목초 중 무 기양분의 상호균형과 grass tetany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한토비지, 19(3): 231-238
  15. 허봉구, 조인상, 민경범, 엄기태. 1984. 우리나라 토양의 대표적인 물리화학적 특성. 한토비지, 17(4); 330-336

피인용 문헌

  1. A Comparative Stud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Nutritional Components of Corn Hybrids for Silage at Paddy Field Cultivation vol.32, pp.1, 2012, https://doi.org/10.5333/KGFS.2012.32.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