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2002年 사료작물 수입적응성 인증품종의 생육특성 및 수양성 II. 중숙 양질 다수성 사일리지용 옥수수 교잡종 “Nc+4880” 및 “Garst 8396 IT”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Recommended Cultivars by Imported Forage Crop Yield Regional Trials in 2002 II. Mid-maturing, Good Quality, and High Yield of Forage Corn Hybrid, “Nc+4880”, “Garst 8396 IT”

  • Sung, B.R.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Lim, Y.W.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Lim, Y.C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Kim, K.Y.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Lim, K.B.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발행 : 2002.12.01

초록

사료용 옥수수 교잡종 Nc+4880은 미국의 "NC+hybrids Co.", Garst 8396 IT은 “Garst Seeds Co.” 회사가 각각 육성한 교잡종들이며, 사료작물 수입적응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수 원과 천안 2개 지역에서, 3개년 동안 생산력을 검정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2년 4월 농협중앙회 수입적응성 심의위원회에서 신규 보급품종으로 결정되었으며, 이들 교잡종 들의 주요 재배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NC+4880 가. 종피색은 황색이며, 평균 출웅기는 7월 7일, 그리고 출웅 소요일수는 74일로 중숙품종 수원 19호보다 1일 빠르며 득장은 242cm로 다소 짧으며 착경고는 117cm로 낮으며 도복이 강한 품종이다. 나. 호마엽고병에는 강하며, 흑조 위축병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며, 후기 녹색도는 중정도이다. 다. ha당 청채, 건물 및 TDN 수량은 각각 55.4톤, 18.2톤 및 12.4톤으로 수원 19호보다 6%, 7% 및 9%가 증수되었으며 자덕비율도 50.9%로 높은 품종이다. 2. Garst 8396 IT 가. 본 교잡종의 종피색은 황색이며 평균 출웅기는 7월 9일이며, 출웅 소요일수는 76일로 수원 19호보다 1일 늦은 중숙 품종이고, 간장은 275cm, 착수고는 138cm이다. 나. 호마엽고병에는 중강, 흑조 위축병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며 도복에는 매우 강한 편이고, 후기 녹색도는 중 정도이다. 다. ha당 청채수양은 64.9톤, 건물 20.9톤 및 TDN은 13.8톤으로 수원 19호보다 각각 25%, 23% 및 22% 증수되었으며 자덕비율은 43.3%이었다. 43.3%이었다.

NC+4880, a forage com hybrid, is bred by NC+hybrids Co. in US, and Gast 8396 IT is by Garst Seeds Co. We have tested these two cultivars in Suwon and Chonan over three years to test their regional yield trial. Through above experiments, the excellence is testified, in result, they are determined as new recommended cultivars by NAC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se cultivars are as tallows ; 1. NC+4880 a. The seed coat is yellow, the mean tasseling date is 7th of July and it takes about 74 days from emergence to tasseling date. This hybrid is a day ahead and the culm length is 242 cm, moreless shorter comparing with a check hybrid, Suwon 19. The ear height 117 cm which is short and its stay green is moderate. b. It shows resistance to H maydis, and MBSDV is barely observed and its stay green is moderate. c. The fresh yield, dry matter yield, and TDN yield per a ha are 55.4 tons, 18.3 tons, 12.4 tons, respectively, which are increased by 6%, 7%, and 9%, respectively, comparing with a check hybrid, Suwon 19. The percent ear among total dry matter yield is 50.9%. 2. Garst 8396 IT a. The seed coat is yellow, the mean tasseling date is 9th of July and it takes about 76 days from emergence to tasseling date. This hybrid represent a day delayed compared with a check hybrid, Suwon 19. The Culm length and the ear height are 275 cm, and 138 cm, respectively. b. It resists moderately to H. maydis, and highly resists to lodging in the field conditions. MBSDV is barely observed and its stay green is moderate. c. The fresh yield per a ha is 64.9 tons, dry matter yield, 20.9 tons, and TDN, 13.8 tons, respectively, which are increased by 25%, 23%, and 22% comparing with a check hybrid, Suwon 19. The percent ear among total dry matters is 43.3%.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순권, 함영수, 박근용, 박승의, 문현귀, 최현옥, 김석동, 제임스.엘.부루베이커. 1978. 옥수수 내병충 내도복 다수성 신품종 '수원 19호'. 농시연보 제20집 149-156
  2. 문현귀, 손범영, 차선우, 정태욱, 이영호, 서정호, 민황기, 최기준, 허창석, 김석동. 2001. 사일리지용 옥수수 신품종 '광평옥', 한육지 33(4):350-351
  3. 문현귀, 손범영, 차선우, 정태욱, 이영호, 민황기, 성병열, 최홍집, 김석동. 2001. 사일리지용 옥수수 신품종 '두루옥'. 한육지 33(4):348-349
  4. 문현귀, 차선우, 정태욱, 김석동. 1997. 사일리지용 옥수수 '수원옥'. 1996년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 심의자료(하작물). 작물시험장(별책).
  5. 박근용, 박승의, 함영수, 문현귀, 김순권. 1980. 옥수수 신품종 '횡성옥'. 1980년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 심의자료(하작물). 작물시험장(별책)
  6. 박근용, 박승의, 문현귀, 최근진, 박래경, 이종훈, 이광석, 최대웅. 1990. 흑조위축병 저항성 사일리지용 옥수수 단교잡종 '광안옥'. 농시논문집(전.특작편) 32(3):32-38
  7. 성병렬, 최기준, 임용우, 임근발, 임영철, 박근제. 2002. 2002년 목초 및 사료작물 품종 수입적응성 시험 인증품종 해설 : 옥수수 NC+4880 및 Garst 8396 IT. 농협중앙회 (별책) : 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