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Vegetation Index for Zoning of Natural Ecosystem on Baekdudaegan

백두대간 자연생태계의 지역구분을 위한 식생지수에 관한 연구

  • 김갑태 (상지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For the zoning of natural ecosystem, Vegetation Index is calculated from the vegetation data surveyed on Baekdudaegan (Pijae-Doraegijae). Five factors -biodiversity, conservation value of the stand, environmental quality, longevity of the stand, site productivity- are considered in the calculation of Vegetation Index. Vegetation Index might be a useful zoning tool for management of Baekdudaegan. For Vegetation Index I, 59 sample plots 52.2% of total 113 sample plots are belong to core area, 34 sample plots 30.l% and 20 sample plots 17.7% are belong to buffer zone and transition area, respectively. For Vegetation Index II, 49 sample plots 43.4% of total 113 sample plots are belong to core area, 38 sample plots 33.6% and 26 sample plots 23.0% are belong to buffer zone and transition area, respectively.

자연생태계의 보전을 위한 지역구분을 위하여 백두대간(피재-도래기재) 구간을 조사한 식생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식생의 보전가치를 식생지수라는 것으로 수치화하는 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식생지수는 생물다양성, 임분의 보전가치, 환경의 청정성, 임분의 역사성 입지의 생산성 등을 바탕으로 수치화하였다. 식생지수는 백두대간 관리범위 설정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식생지수 I의 경우 총 113개의 조사지 중에서 59개 지역 52.2%가 핵심지역에 속하고, 34개 지역 30.1%, 20개 지역 17.7%가 각각 완충지역과 전이지역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지수II의 경우 49개 지역 43.4%가 핵심지역에 속하고, 38개 지역 33.6%, 26개 지역 23.0%가 각각 완충지역과 전이지역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연구원(2000) 백두대간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관리범위 설정을 중심으로 -1차년도 보고서-. 국토연구원. 63쪽
  2. 김갑태. 백길전(1998) 태백산 장군봉지역 주목림의 임분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2(1): 1-8
  3. 김갑태, 추갑철, 백길전(1998) 한라산 아고산지대의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구상나무림-. 한국임학회지 87(3): 366-371
  4. 김영환, 유기준, 신만용(1998) 국림공원 용도지구 설정을 위한 지표인자 구명 . 한국임학회지 87(3):347-357
  5. 산림청(1981) 임업기술(육림. 경영. 이용) 1, 362쪽
  6. 산림청(2001) 백두대간 자연생태계 보전 및 훼손지 복원방안 조사 연구. 산림청 , 306쪽
  7. 산림청. 녹색연합(1999) 백두대간 산림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산림청 , 602쪽
  8. 신현탁. 김용식(2001) 한국에서 적용가능한 보전지역평가기준에 대한 고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3):247-256
  9. 오충현(2001) 서울의 도시생태계 관리를 뒤한 비오톱 지도 활용방안.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53쪽
  10. 유기준(1996) Land Spectrum Model(LSM) Based onResource Values and Recreation Opportunities forKorean National Park System. Ph.D. Dissertation,University of Maine, U.S.A
  11. 이영근, 이돈구, 이병두(2001) 새로운 기댑을 적용한자연도 평가. 한국임학회지 90(4): 488-494
  12. 최송현(1996) 산림생태계의 환경영향평가 기법에 관한 연구 -녹지의 자연성 평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9쪽
  13. 추갑철. 김갑태. 백길전(2000) 지리산국립공원 아고산지대의 구상나무림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1): 28-37
  14. Batisse, M.(1986) Developing and focusing the biosphere reserve concept. Nature and Resource 23(3), UNESCO, Paris, France
  15. Conti, M.E. and G. Cecchetti(2001) Biological monitoring: lichens as bioindicators of air pollution assessment - a review. Environmental Pollution 114(3): 471-492 https://doi.org/10.1016/S0269-7491(00)00224-4
  16. Dallmeier, F.(1998) Measuring and monitoring forest biodiversity: the SI/MAB model, pages 15-29, Assessment Biodiversity for Improved Forest Planning. Bachmann, P. et al.(e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421pp
  17. Dobben, H.F., et al.(2001) Relationship between epiphytic lichens, trace elements and gaseous atmospheric pollutants. Environmental Pollution 112(2): 163-169 https://doi.org/10.1016/S0269-7491(00)00121-4
  18. Howard, P.C, P. Viskanic, and F.W. Kieenyi(1998) Biodiversity assessment for conservation planning in Uganda' s forests, pages 263-271, Assessment Biodiversity for Improved Forest Planning. Bachmann, P. et al.(eds). Kluwer AcademicPublishers, 421pp
  19. Uliczka, H. and P. Ange1stam(2000) Assessing conservation values of forest stands based on specialised lichens and birds. Biological Conservation 95: 343-351 https://doi.org/10.1016/S0006-3207(00)00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