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ochastic Simulation Model for the Precipitation Amounts of Hourly Precipitation Series

시간강수계열의 강수량 모의발생을 위한 추계학적 모형

  • 이정식 (금오공과대학교 토목, 환경 및 건축공학부) ;
  • 이재준 (금오공과대학교 토목, 환경 및 건축공학부) ;
  • 박종영 (금오공과대학교 토목, 환경 및 건축공학부)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mputer simulation model that produces precipitation patterns from stochastic model. The hourly precipitation process consists of the precipitation occurrence and precipitation amounts. In this study, an event cluster model developed by Lee and Lee(2002) is used to describe the occurrence process of events, and the hourly precipitation amounts within each event is described by a nonstationary form of a first-order autoregressive process. The complete stochastic model for hourly precipitation is fitted to historical precipitation data by estimating the model parameters. An analysis of historical and simulated hourly precipitation data for Seoul indicates that the stochastic model preserves many of the features of historical precipitation. The auto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historical and simulated data are nearly identical except for lags more than about 3 hours. The precipitation intensity, duration, marginal distributions, and conditional distributions for event characteristics for the historical and simulated data showed in general good agreement with each other.

본 연구의 목적은 간헐 수문사상인 시간강수계열의 구조적 특성을 고찰하여 강수량 모의발생을 위한 추계학적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강수발생과정에 대한 추계학적 모형은 이재준과 이정식(2002)이 개발한 추계학적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강수량과정을 위하여 사상내의 시간강수량을 비정상 1차 자기회귀모형으로 기술하였다. 시간강수계열의 강수발생과정과 강수량과정을 조합하면 시간강수사상의 발생패턴과 사상기간내의 강수의 종속구조를 모의할 수 있는 시간강수계열에 대한 모의모형이 얻어지며, 이 모형의 적합성을 구명하기 위해 서울을 대상으로 하여 실적강수자료를 분석하였다. Monte Carlo 모의결과는 모형이 사상기간내의 강수강도, 지속 기간, 크기의 주변 및 조건부 분포를 잘 재현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실적 및 모의 자료에 대한 자기상관함수도 비교적 작은 시간지체에서는 유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태호, 이재준, 이종태 (1999). '도시하천에서의 강우, 유출 및 수질 예측 (Ⅰ).'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9권, 제II-1호, pp. 23-34
  2. 이원환, 이재준 (1985). '시간적 확률구조를 고려한 일강수량의 모의발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논문집, 제17집, 제1권, pp. 37-46
  3. 이재준, 이원환 (1986). '공간적 확률구조를 고려한 일강수량의 모의발생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6권, 제3호, pp. 31-42
  4. 이재준 (1987). 강수계열의 모의발생모델 개발.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5. 이재준, 이정식 (1992). 간형수문곽정의 모의발생 모델-일강수계열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재단 일반기초연구 보고서, KOSEF 921-1300-010-1
  6. 이재준, 이정식 (1994a). '간혈수문과정의 모의발생 모형( I )-교대재생과정(ARP)과 연속확률분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4권, 제3호, pp. 509-521
  7. 이재준, 이정식 (1994b). '간혈수문과정의 모의발생 모형(II)-Markov 연쇄와 연속확률분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4권, 제3호, pp. 523-534
  8. 이재준, 이정식 (2002). '시간강수계열의 강수발생과정에 대한 추계학적모형.'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1호, pp. 109-124
  9. Box, C. E. P., and G. M. Jenkins (1970). Time Series Analysis : Forecasting adn Control. Holden-Day, San Francisco
  10. Bradley, J. V. (1968). Distribution-free Statistical Tests. Prentice-Hall, New Jersey, pp. 357-369
  11. Bruhn, J. A., W. E. Fry, and G. W. Fick (1980). 'Simulation of Daily Weather Data Using Theoretical Probability Distributions.' Jour. Appl. Meteor., Vol. 19, No. 9, pp. 1029-1036 https://doi.org/10.1175/1520-0450(1980)019<1029:SODWDU>2.0.CO;2
  12. Cox, D. R., P. A. W. Lewis (1966). Statistical Analysis of Series of Evants. Methuen, London
  13. Hillier, F. S., and G. J. Lieberman (1980). Introduction to Operations Research. Holden-Day, San Francisco
  14. Istok, J. D., and L. Boersma (1989). 'A Stochastic Cluster Model for Hourly Precipitation Data.' Jour. of Hydrology. Vol. 106, No. 1, pp. 257-285 https://doi.org/10.1016/0022-1694(89)90076-0
  15. Richardson, C. W. (1981). 'Stochastic Simulation of Daily Precipitation, Temperature, and Solar Radiation,' Water Resour. Res., Vol. 17, No. 1, pp. 182-190 https://doi.org/10.1029/WR017i001p00182
  16. Snedeocr, C. W., and W. C. Cochran (1980). Statistical Methods, 7th ed. The Iowa Univ. Press, Ames, Iowa
  17. Todorovic, P., and D. A. Woolhiser (1975). 'A Stochastic Model of n-Day Precipitation.' Jour. Appl. Meteor., Vol. 14, pp. 17-24 https://doi.org/10.1175/1520-0450(1975)014<0017:ASMODP>2.0.CO;2
  18. Woolhiser, D. A., E. Rovey, and P. Todorovic (1972).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Parameters for the Distribution of N-day Precipitation.' Proc. Second Inter. Symp. in Hydrol., Sep. 11-13, Fort Collins, pp. 605-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