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design elements of Block Stripe Pattern on Sensibility

블록 스트라이프 패턴의 디자인 요소가 감성에 미치는 영향

  • 이영진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
  • 정혜진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
  • 박희주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
  • 이주현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
  • 조길수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 Published : 2002.09.01

Abstract

In order to reflect emotion and sensibility of consumers to textile pattern design, the effect of design elements of block stripe pattern on sensitivity was investigated. The stimuli were manipulated with 4 design elements of value difference (3 levels), arrangement (2 levels), width (2 levels) and interval (3 levels). Among the 36 combinations, 27 stimuli, which showed independent sensibility results in the pretest, were adopted as final stimuli.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n=30) evaluated each sensibility subjectively using a questionnaire developed for this study. The effect of design elements on 12 sensibility dimensions drawn by factor analysi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hysical quantities of each stimulus and the sensibilities were investigated. As the results of ANOVA for the effect of design elements on sensibility, there were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nsibility in the orders of value difference, interval, width, and arrangement. The value difference showed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Looking at the sensibility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design elements, the narrower the width of the stripe, the more 'humble', 'clean', 'modern', 'simple', and 'comfortable', and the narrower the interval between stripes, the more 'impressive' and 'conservative' The smaller the value difference, the more 'luxurious', 'modern', 'humble', 'simple', 'soft', and 'clean'. Regression models to predict the 12 sensibilities showed higher values of goodness of fit except 'conservative', 'casual' and 'modern', which were all over 0.6. Based on these results, 2 design prototypes reflecting consumer's sensibility were presented.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을 반영하는 한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블록 스트라이프 패턴 (block stripe pattern)에 대한 디자인 요소를 조사하였다. 자극물은 명도차(3가지), 배열(2가지), 폭(2가지), 간격(3가지)의 4가지 요소를 조작하여 구성되었다. 36가지 조합 중에서 사전 조사에서 독립적인 감성을 보이는 27개를 최종 자극물이 선정되었으며, 남녀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감성평가를 실시하였다. 4가지 디자인 요소가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12개의 감성차원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 물리량에 근거한 정량적 분석을 통해 각 자극물과 감성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각 디자인 요소가 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ANOVA 분석한 결과, 명도차, 간격, 폭, 배열의 순서로 의미있는 감성차이를 유발하였으며 명도차는 거의 모든 감성에서 감성차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설명력 높은 디자인 요소로 분석되었다. 디자인 요소 레벨에 따른 감성의 차이를 살펴보면, 폭이 좁을수록 '수수한', '깨끗한', '모던한', '심플한', '편한' 감성을, 간격이 좁을수록 '강렬한', '보수적인' 감성을, 명도차가 작을수록 '고급스러운', '모던한', '수수한', '심플한', '점잖은', 보수적인', '소프트한', '깨끗한', '편한' 감성을 나타내었다. 감성을 요소별 물리량으로 예측한 회귀모형을 도출한 결과, 12개의 감성 중 '보수적인', '캐주얼한', '모던한' 감성을 제외한 모든 감성에 대해 R²가 0.6 이상의 높은 적합도를 보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소비자 감성이 반영된 2가지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