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lement of appeal and aspect of Korean advertisement -focusing on cellula phone′s advertisement in the newspaper-

한국적 광고의 소구요소와 양상 연구 - 신문에 게재된 휴대폰 광고를 중심으로 -

  • 김동운 (고신대학교 예술학부 산업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2.11.01

Abstract

The discussions on Korean advertisement have been continued since 1980's. Comparing with other fields, years of research had not bear as fruitful achievements as we expected. The present situation where korean own culture has been disappearing day by day, this thesis will have significant meaning by investigating Korean culture and advertisement reflecting its culture. This thesis put emphasis on consumers who have been neglected by discussions. So I intended to study the expression of Korean advertisement and their attitudes focused on celluar phone. To investigate their attitudes, I first settled the concept of Korean Advertisement, then posed questions for identifying a shift in their altitudes. As a result of posing questions, I can see that they take friendly attitudes toward Korean advertisement regardless of their ages. And the younger they are, the less they are friendly with advertisement. The element of appeal was differentiated between ages and appeal by korean own sentiment is more effective. I think this outcome verifies the necessity to have concerns on Korean advertisement and make distinct advertisement strategy keeping step with advertisement targets.

한국적 광고에 대한 논의는 1980년대 이후 어느 정도의 성과를 이룬 것도 사실이나 다른 분야에 비해 지속적인 연구의 성과는 크지 않은 편이다. 한국적 문화가 점차 사라져가고 있는 현재 한국적 문화를 검토하고 이를 표현한 한국적 광고를 연구하는 본고는 이러한 면에서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이제까지 논의에서 소외되어온 소비자를 중시하여 신문에 게재된 휴대폰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적 광고의 소구요소와 소비자의 태도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적 광고에 대한 명확한 개념을 정의하였고 소비자의 태도와 그 변화를 확인하고자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의 결과 한국적 광고에 대한 태도가 연령층에 관계없이 우호적인 것으로 드러났으나 연령이 낮을수록 한국적 광고에 대한 우호의 정도가 낮았으며 비한국적 요소에 대해 관대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연령층에 따라 소구의 요소가 다르게 나타나며 한국적 정서에 의한 소구가 더욱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적 광고에 대한 관심과 광고대상에 따른 차별화된 광고전략의 필요성을 증명해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