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umer Satisfaction and Evaluation of Health Information Sites in the Internet

인터넷 건강정보 사이트 평가와 소비자 만족에 관한 연구

  • 김민철 (제주대학교 경상대학 경영정보학과) ;
  • 권순만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정책관리학과)
  • Published : 2002.09.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valuation models of internet sites an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consumer satisfaction of health information sites in the Internet. Based on the covariance structural model applied to a customer survey, this study shows tha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e. contents ha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which in turn affects the consumer willingness to recommend the site to others.

본 연구는 국내 건강정보 사이트의 평가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소비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건강정보 사이트 방문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변량구조모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이트 평가 요인은 컨텐츠, 웹시스템 그리고 고객서비스의 3개 요인으로 나누어졌으며, 이들 요인 중에서도 정보내용과 관련된 컨텐츠 요인이 고객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가장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평가요인이 소비자 만족도와 이용료 수준의 적정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고객반족이 타인추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남미, 김진, 탁계래, 현태선. 1999. 인터넷상의 국내 건강정보 사이트의 평가기준. 대한의료정보학회지, 5(7): 119-123.
  2. 강병서. 1999. 인과분석을 위한 연구방법론. 서울: 무역경영사.
  3. 김민철, 진동수. 1999. 의료정보에이전트에 의한 새로운 의료서비스의 고찰. 대한의료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4. 김진우, HCI Lab. 1999. INTERNET BUSINESS.COM. 서울: 영진출판사.
  5. 대한의료정보학회. 1999. 보건의료정보학. 서울: 현문사.
  6. 신정하, 성홍관, 김철환, 고재성, 우광훈. 2000. 간염 관련 정보 분석을 통한 국내 인터넷 의료정보의 적절성 평가. 대한의료정보학회지, 6(3): 73-88.
  7. 안지영 2000. 인터넷을 통한 건강 상담의 내용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의사신문. 1999. 6월 14일.
  8. 이순묵. 1990. 공변량구조분석. 서울: 성원사.
  9. 이승기. 1996. 그룹웨어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측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0. 이재관. 2000. 커뮤니티 요소를 고려하는 웹사이트 평가. 경영과학, 17(3): 119-129.
  11. 조선배. 1996. 서비스환경과 가격이 지각된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25 (1): 51-73.
  12. 한국능률협회. 2001. 내부자료.
  13. 한국능률협회. .
  14. 한국전산원 .
  15. 홍일유, 정부현. 2000. 인터넷 웹사이트의 포괄적 평가모형에 대한 연구. 경영과학, 17(3): 161-180.
  16. A. Parasuraman. Zeithaml. V. A., and Leonard L. Berry. 1996. "Problems and Strategies in Service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49. 34-55.
  17. Cronin, Taylor. 1992. "Measuring Service Quality: A Reexamination and Extention." Journal of Marketing, 56, 56-68.
  18. Javenpaa. Peter A. Todd 1997. "Consumer Reactions to Electronic Shopping on the World Wide Web."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1(2), 59-88.
  19. Jadad AR. Gagardi A. 1998. "Rating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JAMA, 279, 611-614. https://doi.org/10.1001/jama.279.8.611
  20. Guadian Angel. .
  21. Agent R2Do2. (http://www.seas.upenn.edu/-barryg>.
  22. Babydoctor. .
  23. Healthnk. .
  24. Igate. .
  25. Amdoctor. .
  26. Crecamp .
  27. Doctor. .
  28. Doctorkorea. .
  29. Emedicals. .
  30. Healthkorea. .
  31. Healthok. .
  32. Healthpia. .
  33. Medshop. .
  34. Webhospital. .

Cited by

  1. A Study Comparing Public and Medical Librarians' Perceptions of Evaluation Guidelines for Health & Medical Information vol.25, pp.1, 201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4.25.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