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gical Result of the Modified Blalock-Taussig Shunt in Early Infancy

조기 영아기에서의 변형 블라록-타우시히 단락술의 수술 결과

  • 이정렬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흉부외과) ;
  • 곽재건 (서울대학교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최재성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의학 연구소)
  • Published : 2002.08.01

Abstract

Background: In this study, the role and the surgical outcome of the modified Blalock-Taussig shunt in the treatment of the infants with cyanotic complex congenital heart diseases were investigated. Material and Method: Over the last 12 years, 105 modified BT shunts were performed in 100 infants. Postoperative course, shunt patency rate, complications, mortality and its risk factors were reviewed restrospectively. Result: The mean age at operation was 43.0$\pm$36.6 days. Sex ratio was 60:40(M:F). The postoperative oxygen saturations were lowest after mean duration of 11 hours after the shunt procedure. The operative mortality was 8%(8) with 3 late deaths. Causes of operative death included failure of maintenance of minimum oxygenation during the procedure(2), immediate postoperative shunt occlusion(2), respiratory failure(2), low cardiac output due to heart failure and pericardial effusion(2) and sepsis(2). Late deaths resulted from acute cardiac arrest during the follow up cardiac catheterization, hypoxic myocardial failure, and arrhythmia. Year of surgery, shunt size, age at operation, and complexity of the anomalies were not the risk factors for mortality. Six month shunt patency rate was 97% and overall patency rate was 96%.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omprised of shunt occlusion(6), phrenic nerve palsy(3), and wound infection(2). Conclusion: We demonstrated that modified Blalock-Taussig shunt was a useful tool to palliate the infants with complex cyanotic heart disease in whom early complete repair was not feasible with acceptable mortality and patency rate. An adequate postoperative management and a meticulous surgical technique may be key factors for the better results.

배경: 본 연구에서는 영아기에 변형 블라록-타우시히 단락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술후 경과, 개통율, 사망률과 사망원인 및 이에 영향하는 위험인자 들을 분석해봄으로써 그 유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1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흉부외과에서, 폐동맥성형술을 함께한 경우까지만 포함한 블라록-타우시히 단락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병록지 분석을 하였다. 수술 당시 평균 연령은 43.0$\pm$36.6 일이었고 남.녀 성비는 남: 여, 60 : 40 이었다. 진단은 54례가 활로씨사징증이었으며, 그 외 단심증, 각종 대혈관전위증, 양대혈관우심실기시증 등의 복잡심기형이었다. 결과: 환자의 술 후 산소포화도의 변화 양상은 수술 직후에서 약 24시간까지는 다소 불안정한 상태로 유지되다가 48시간정도 이후부터 안정되기 시작하여, 술 후 2~7일 사이에 서서히 회복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수술 사망은 8례로 수술 도중 발생한 저산소증관리의 실패(2), 수술 직후 발생한 단락 폐쇄(2), 심기능부전과 심낭삼출 등으로 인한 저심박출증(2), 패혈증(2)등이었다. 완전교정술을 기다리다가 사망한 3례의 만기 사망환자의 사망 원인은 심도자술 시행 시 발생한 급성 호흡정지(1), 심한 저산소성 심부전(1), 부정맥(1) 등으로 술 후 131~324 일 사이에 발생하였다. 단락술 후 사망에 관여하는 인자로 수술년도, 단락크기, 연령, 심기형의 복잡성정도 등을 살펴보았으나 모두 사망의 유의인자가 아니었다. 수술 사망을 제외한 92명에 대한 다음 단계 수술까지의 단락 개통유무를 기준으로 살펴본 6개월의 개통률은 97% 였으며, 전체 연구 기간을 대상으로 한 개통률은 96%였다. 결론: 저자 등은 본 연구를 통하여 신생아 및 조기 영아기 환자에 시행한 변형 블라록-타우시히단락술이 적어도 술 후 1, 2년 동안의 완전 교정술까지의 고식 목적으로 또는 폐동맥 준비과정으로 그 유용성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그러나 양호한 성적을 위해서는 안정적인 술기의 확보, 단락술 후의 혈역학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술 후 관리, 정중 흉골절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보다 정교한 수술 등이 필수적이라는 사실도 지적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Ann Thorac Surg v.69 Systemic Pulmonary Shunts in Neonates: Early Clinical Outcome and Choice of Surgical Approch Alkhulaifi AM;Lacour-Gayet F;Seffat A(et al.)
  2. Ann Thorac Surg v.49 Modified Blalock-Taussig Shunts: Results in Infants Less Than 3 Months of Age Tamisier D;Vouhe PR;Vernant F(et al.)
  3. 제 33 차 대한흉부외과학회 추계 학술대회 초록집 전신-폐 단락술 후 산소포화도의 불안정성 윤태진;정성호;박정준;서동만
  4. J Thorac Cardiovasc Surg v.116 Heparin as a Risk Factor For Perigraft Seroma Complicating the Modifed Blalock-Taussing Shunt Berger RMF;Bol-Raap G;Hop WJC(et al.)
  5. Surgery v.97 Perigraft Seromas Complicationg Arterial Grafrs Blumenberg RM;Gelfand ML;Dale W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