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사이트 컨텐츠 개발을 위한 청소년의 사이버 영양 정보 및 상담 이용실태와 요구도 분석

  • Published : 2002.10.01

Abstract

청소년을 위한 영양 웹사이트의 컨텐츠 개발을 목적으로 사이버 영양정보 이용 현황과 요구도를 파악하고자 서울, 대전, 광주, 대구의 4개 대도시의 남녀 중고등학생 1262명을 임의로 선정하여 2000년 9월부터 10월에 걸쳐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의 인터넷/PC통신의 이용시간은 전체 하루 평균137.0 $\pm$ 100.6분으로 나타났고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평균 20.2분 길었다(p<0.05) 영양정보 급원의 이용 비중은 TV/라디오가 가장 컸고(3.69 $\pm$ 1.48) 인터넷/PC통신의 비중은 남녀, 중고생간의 차이 없이 매우 낮았다(1.30 $\pm$1.53). 인터넷/PC통신의 이용은 주로 게임 오락, 채팅이나 사교, 숙제자료를 찾기 위해서였으며 학교 공부 이외의 정보와 지식을 얻기 위한 활용도는 낮았다. 조사대상 중 인터넷/PC통신을 통해 영양정보 습득 경험이 있는 비율은 전차의 34.5%였으며 여학생(38.3%)이남학생(30.3%)보다 높았다(p<0.01). 영양정보 습득을 위해 인터넷/PC퉁신 이용 빈도는 응답자의 72%가 한 달에 1회 이하였으나, 한 달에 4회 이상 이용자도 10.9%나 되었다. 이용 목적은 ‘숙제를 위하여’가 가장 많았고 ‘자신의 건강’ 또는 ‘다이어트를 위함’이 그 다음 순이었다. 이용한 영양 웹사이트들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보통’의 수준(3.05 $\pm$ 0.92)이었으며 별로 또는 전혀 만족하지 않는 비율이 29.2%나 되었는데, 개선점으로 ‘정보의 빈약’(36.3%), ‘내용의 지루함과 흥미 부족’ (23.8%), ‘접속 속도의 느림’ (20.7%)의 순이었고, ‘내용의 난해도’는 전체의 13.0%가 지적하였다. 영양 컨텐츠의 내용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청소년 수준에 맞도록 쉽고 구체적이며 (71,8%), 새로운 정보의 빠른 업데이트(60.6%), 그리고 화면구성면에서는 쉽게 찾아 들어올 수 있고(88.6%) 복잡하지 않은 화면(61.9%)과 캐릭터를 많이 쓰는 것(51.1%)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한편 인터넷/PC통신을 통한 영양상담 경험은 남녀나 중고생간의 차이 없이 전반적으로 매우 적었으며(8.1%) 그중 91%가 한 달에 1회 이하로 저조한 상담 빈도를 보였다. 상담목적은 ‘자신의 건강’, ‘숙제’, ‘다이어트’, ‘가족의 건강을 위해’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담결과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보다 낮은 수준으로서(2.53 $\geq$ 1.01) ‘별로 또는 전혀 만족하지 않는’ 비율이 45.9%로 나타났다. 영양상담사이트의 개선점으로는 답변의 빈약함(43.2%), 난해성(22.7%), 느린 답변(22.7%) 등을 지적하였으며 친절하고 충분한 답변에 대한 요구도가 크게(48.7%) 나타났다. 조사대상들의 영양정보 습득이나 영양상담의 접속 경로는 주로 검색엔진을 통해서였으며 야후와 다음이 가장 많이 이용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Cho LK, Ahn MS (1998): A survey on the Food intake pattern and the Recognition about Body style of High school girls. Korean J dietary culture 13(2): 127-134
  2. Kang N, Hyun T (1998): Use and need of health and nutrition information on the computer among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Nursing Edu 4 (1): 7-14
  3. Kang N, Hyun T, Tack G (1998): Needs assessment for health and nutrition information of Korean women through PC communication. J Korean Women's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4(3): 321-332
  4. Kim HS, Lee lH (1993) : The prevalence of Obesity and It’s related Factors of High school girls in the Large cities. Korean J Nutrition 26 (2): 182-188
  5. Kim IS, Lim JH, Han MS, Choi JM (1996): Comparisons of high school student's perspective on Home Economics. J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5 (1): 99-111
  6. Kim YS, Heo JY (1998): A study on the Information search, Information use and search outcome of Adolescent consumers Focus on clothing purchase Behavior. J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7 (1): 61-74
  7. Hyun T (1999): Present status and use of nutrition information service on the PC communication and internet.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Abstract of the winter conference, Taejon, pp.25-35
  8. Lee JW, La HS (1996): Blood pressure distribution of Adolescents in Taejon c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obese Index and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 : 178-188
  9. Lee JW, Ly SY, Kim KE (2002): Characteristic Analysis of Internet Nutrition counseling served by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7 (1): 86-91
  10. Lee MR (1995): Relationships of High school seniors' Coping strategies used to Handle. Examination stress with levels of De pression.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3 (5): 89-98
  11. Ly SY, Kim KE (2002): The perception and Need for Nutrition counseling of the Adults living In Daejeon. J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11 (1): in press
  12. Ly SY, Lee HY (1997): A study on dietary intake of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using a convenient dietary questionnaires. Chungnam J of home economics 10(1): 71-83
  13. Lyu KS (1994) : A survey on the weight control interest and eating behavior of the girl's high school student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14. Ryu HK (1997): A survey of Adolescents' concern and perception about body Imag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 (2): 197-205
  15. Ryu HK, Yoon JS (1998): Relationship of perception of obesity and Experiences of weight control and Body Image in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3 (2): 202-209
  16. 디지털조선일보(2001a) : 야후, 검색엔진 이용자 규모 1위. 디지틀조선일보(http://www. chosun .com): 2001년 3월 21일자
  17. 디지털조선일보(2001b) : 다음, 27만명 대상 'd-라이프스타일' 조사. 디지틀조선일보(http://www. chosun .com): 2001년 9월 16일자
  18. 디지털조선일보(2001c) : 미 인터넷 이용, 인기사이트 집중화 '뚜렷'. 디지틀조선일보(http://www. chosun .com) : 2001년 8월 27일자
  19. 청소년세계(2000) : 사이버 상담에 나타난 청소년 문제 연구. 청소년 세계 (http://youth.co.kr), pp.1-26
  20. 한국갤럽(2000) : 우리 나라 국민의 인터넷 이용실태에 관한 조사. 한국갤럽 (http://www.gallup.co.kr)
  21. 한국인터넷정보센타(2002) : 인터넷 이용자수 및 이용행태 조사요약 결과 보고서. 한국인터넷정보센타(http://www.stat.nic.or.kr), pp.2-12
  22. 한국전산원(2001) : 2001한국인터넷백서, pp.154-156, 한국전산원, 용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