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시장재의 가치평가 : WTP의 추정과 부분-전체 편의의 검토

Valuation of Nonmarketed Goods: WTP and Part-Whole Bias in CV Studies

  • 박용치 (서울시립대학교 법정대학 행정학과)
  • 발행 : 2002.06.01

초록

CV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에 대한 지불 용의액을 계산하는 것 못지 않게 연구과정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편의 즉, 부분전체편의, 출발전 편의 등이 문제된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에 있는 4대강의 수질을 수영이 가능한 수질을 개선시킨다는 전제 아래 시민들은 얼마를 지불할 용의가 있는지를 추정하고, 이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분-전체 편의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추정 결과 한강모델의 경우는 WTP가 5,435.69원이었고, 4대강 모델의 경우는 WTP가 7,182.68이었으며, 이 과정에서 부분-전체 편의는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그 원인으로는 대체효과와 순편의 효과로 설명된다.

Part-whole bias in contingent-valuation studies is a possible explanation for non-use contingent-valuation estimates that are insensitive to marginal changes in environmental commodities. To increase the quality of river water, it is tested how much WTP is paid and is tested whether there is a part-whole bias in this contingent studies. An empirical test of the component sensitivity is provided. This test rejects the hypothesis that respondents are insensitive to the scope of the good being valued. WTP estimated in this paper is 5,435.69 won for Hangang model, and 7,182.68 won for 4-river model. And it might be concluded that part-whole bias exists and it is mainly attributed to substitution and net-benefit effec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