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Slope Aspect and Altitude in valley Forests at Hambaeksan Area

함백산지역 계곡부의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산림구조

  • 박인협 (순천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최윤호 (순천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이석면 (전라남도 산림환경연구소) ;
  • 최영철 (국립수목원) ;
  • 유석봉 (전라남도 산림환경연구소)
  • Published : 2002.03.01

Abstract

The valley forests located at the east-facing slope and the west facing slope in Hambaeksan area were studied to investigate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aspect and altitude of the slope.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density. mean DBH and basal area of the tree layer between east-facing slope and west-facing slope. The importance percentages of Tilia amurensis and Betula costata in west-facing slope were higher than those in east-facing slope. However, the importance percentages of Quercus mongilica and Fraxinus rhynchophylla in the west facing slope were lower than those in east-facing slope. Species diversity of the west-facing slope was 1.415 and that of the east-facing slope was 1.328. Elevation trends were also found for forest structure. As elevation Increased basal area and mean height of the tree layer decreased in both of east-facing slope and west-facing slope. There was a tendency that number of species, species diversity and evenn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elevation. The importance percentage of Quercus mongolica increased with increasing elevation while those of Betula costata and Maackia amurensis decreased.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for the tree and subtree layer indicated that the studied forests were classified into the mixed forest community of broad-leaved tree species at west-facing slope and the low and middle elevation belts of east-facing slope and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t the high elevation belt of east-facing slope. Quercus mongolica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Acer tschonoskii var. rubripes and deutzia glabrata. Betula costata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Quercus mongolic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남북으로 뻗어 있는 태백산맥의 함백산지역 사거리재(해발 1,275m)를 중심으로 동향사면인 세곡계곡과 서향사면인 정암사계곡을 대상으로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산림구조를 조사분석하였다. 상층임관을 이루는 교목층의 밀도, 평균흉고직경, 흉고단면적은 동향사면과 서향사면간에 별 차이가 없었다. 서향사면은 동향사면에 비하여 피나무, 거제수나무 등의 상대중요치는 높은 반면,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등의 상대중요치가 낮았다. 식생층 전체의 종다양도는 서향사면이 1.415로서 동향사면의 1.328보다 높았으며, 이것은 서향사면인 정암사계곡의 경우 천연기념물인 열목어 서식지로서 비교적 보존이 잘 되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되었다. 해발고에 따른 분석 결과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동, 서향사면 모두 교목층의 흉고단면적과 평균수고가 감소하였으며, 식생층 전체의 종수, 종다양도, 균재도가 감소하는 경 향이었다.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상대중요치가 증가하는 수종은 신갈나무이었으며, 감소하는 수종은 거제수나무, 다릅나무 등이었다. Cluster분석 결과 서향사면 전체와 동향사면 중, 하부의 활엽수혼효림군집, 동향사면 상부의 신갈나무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활엽수혼효림군집의 경우 동향사면 중, 하부와 서향사면 상부의 신갈나무가 준우점종인 활엽수혼효림군집, 서향사면 중 하부의 신갈나무가 거의 출현하지 않는 활엽수혼효림군집으로 재구분되었다. 신갈나무는 노린재나무, 시닥나무, 물참대와 유의적인 정의 상관이 있었으며 활엽수혼효림군집의 주요 우점종인 거제수나무는 신갈나무 당단풍과 유의적인 부의 상관이 있었다.적이며 신속하고 유연한 프로세스는 기존의 시스템적 어프로치, 계획성 마케팅의 통제적인 과정을 극복하는 대안적 프로세스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넷째, 유소년놀이문화의 버내큐러 디자인산물은 과거 순수형태에서 테크노 변형 놀이산물 문화로 변형되어왔는데, 이는 기성적 디자인이 갖지 못한 다양함을 보완하는 대안적 산물이며, 독립적 문화로서 지속성을 가져야 하는 디자인문화이다.성적 : 대상환자 142명중 임상적 효과판정을 평가할 수 있는 환자는 138명이었으며, 이중 116예(84.1%)에서 환치, 8예(5.8%)에서 효험, 14예(10.1%)에서 실패를 보였다. 약리적 부작용 총 14예중 간효소치가 6예 발생하였으며, 피부발진 4예, 어지러움증 3예, 오한 1예가 나타났다. 결론 : 본 다기관 연구에서, teicoplanin은 주요 그람 양성구균에 대해 광범위한 항균력을 갖고 있으며 특히 methicillin에 내성을 가진 포도상구균에 대하여 vancomycin 다음으로 우수한 항균력을 보여 그 임상적 효용성 및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vancomycin에 비하여 부작용이 경미하여 임상의가 항균제를 선택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EV, HEV, etc.) can be considered as ′clean′. Another basic approach is considering as ′clean′ all vehicles satisfying a stringent omission regulation like EURO IV or EEV. Such approaches

Keywords

References

  1. 박인협(1986) 백운산 천연림생태의 산림구조 및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49쪽
  2. 박인협, 임도형, 문광선(2000) 지리산국립공원 계곡부의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산림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1): 11-17
  3. 한국브리태니커(1999) 브리태니커 세계대백과사전. 동아일보. 23권. 570쪽
  4. Brower, J. E. and J. H. Zar(199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Publ., Iowa., 194pp
  5. Day, F. P. and C. D. Monk(1974) Vegetation pattern a southern Appalachian Watershed. Ecologe 55(5):476-496
  6. Daubenmire, R.(1966) Vegetation: Identification of typical communities. Science 151: 291-298 https://doi.org/10.1126/science.151.3708.291
  7. Ludwig, J. A. and J. F. Reynolds(1988)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337pp
  8. Monk, C.D., G.I. Child and S.A. Nicho1son(1969) Species diversity of a stratified oak-hickory Com-munity. Ecology 50(3): 468-700 https://doi.org/10.2307/1933901
  9. Pielou, E. C.(1977)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385pp
  10. Reiners, A. N. and G. E. Lang(1979) Vegetational Pat-terns and precesses in the balsam fir zone, White Mountains, New Hampshire, Ecology 60(2): 403-417 https://doi.org/10.2307/19376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