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 디자인 그룹 ′Droog Design′에 관한 연구

Droog Design ; the mentality and the activities

  • 김유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디자인공학과) ;
  • 문무경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디자인공학과)
  • 발행 : 2002.05.01

초록

산업사회 이후 물질문명의 도래와 급속한 커뮤니케이션의 발전으로 다양한 변화를 수용해야만 하는 현대 디자인에 있어서, 여전히 보편적 진리와 원칙으로 고정된 디자인 사고로는 디자이너뿐만 아니라 새로운 감수성을 수용하려는 인간에게 더 이상 새로운 디자인 가치를 부여하기에는 그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급속한 변화에 민감해진 인간은 계속해서 탄생되는 인공물과의 새로운 관계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Droog Design[드록디자인]'은 네덜란드 젊은 디자인그룹으로 사물에 대한 기존의 기능은 물론 개념들을 재-사고 및 재-정의하고, 실험적이고 경험적인 디자인 접근으로 근래에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디자인 그룹이다. 'Droog Design'은 지금까지의 디자인을 통해 삶의 질적 향상을 가져왔지만 그와 동시에 물질 문명의 폐단에 따른 책임과, 인간과 사물의 관계 개선이라는 측면에서 새로운 디자인 사고방식(mentality)를 제창하고 있다. 특히 조형을 다름에 있어서 인공물이 인간과의 관계는 단순히 수단으로서의 관계뿐만 아니라 감성적이고 경험적인 기능으로서의 관계를 갖기를 요구하고 있다. 'Droog Design'의 디자인 사고와 그 개념적 접근 방식은 오늘의 디자인에 신선한 자극이 되고 있다.

A contemporary design which might accept diversity through the coming materialised world and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of technology Quickly, would have no more new design value with such a design thought that is still fixed by general and principle rule. Because there are a lot of requirements of new relationship between humans who are going to have more sensitivity and things which are born continuously Even though Droog Design is a young design group, they have been recognised by the design community for their experimental approach and re-think not only as a function but also as a concept of existing things. Their thought is that humans have been given a better quality of life through design, and that there should be responsibility for abuse in the material world and has to do with the improvement of things related with human life. Particularly when dealing with form-giving they endow it not just as a tool but also as a sensitivity and experience with both human and human-made artifacts. Like A design mentality of Droog Design, which is extraordinary originality and methodological skills, is a stimulus on a contemporary desig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