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Rhetorical Expression in Modern Illustration

현대 일러스트레이션에서 修辭學的 표현 연구

  • 문철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
  • Published : 2002.05.01

Abstract

Unlike a study related in language alone, rhetorical study of current time, composed with multi-culture, medias, communication, presents its own field that covers from the form of discourse(persuasive) to another form of discourse(not persuasive). If there was a study of making beautiful sentences for story and finding simple method of speech in Greek and roman period of an ancient time, it now a study in which one finds the essence of literary style or terminology in the expression of sentence. The taller case is especially important, given that the importance of what to express visually is on-going active procedure of this stuffy as itself an activity of communication. When a visual object persuades viewers, the activity of communication derives them to react and to understand the intention of an artist. The matter of how to speak is the matter of how to shape message persuasively. This persuasive method or technique is study of rhetoric. The three aspects (figurative, accentuating, mutating) of rhetorical expression of an illustration, the visual image can give fresh feelings to be in intimate relations with public. These rhetorical expressions also vitalize the story that is expressed on illustration with crisp image. It helps to attain expected effects while discovering essential mean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linguistic interpretation of an image. The study aims at the most effective way to communicate by figuring the most strong and direct illustrative message out. One of the method is to patternize illustrative expressions that are established from all kinds of shapes of Rhetoric. Therefore ,an operation of significance and an implication can shape an ultimate goal of this study from acknowledging the mechanism that modern illustration embraces.

수사학(rethoric)은 원래 고대 그리스나 로마 시대 웅변의 방법, 설화술 등의 설득을 위한 학문활동이라고 볼 수 있으나, 오늘날에는 문체의 본질 혹은 문장 표현상의 용어법 연구를 말한다. 현대 수사학은 수사학 학자들이 예측한 대로 단순히 언어와 관련된 학문의 범위를 넘어서 다양한 문화, 매체, 커뮤니케이션 등의 설득적 담론과 시와 같은 비설득적 담론은 물론, 시각언어의 영역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시각디자인 영역에서도 무엇을 어떻게 말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는데, 하나의 시각표현물이 보는 이들을 설득해 작가의 의도를 이해하도록 하고 궁극적으로 행동을 유도하는 커뮤니케이션 활동이라는 점에서 어떻게 말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는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것이다. 어떻게 하면 좀더 설득적으로 메시지를 형상화하느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설득적 방법을 논하는 학문인 수사학을 시각언어에 활용하는 것은 당연하다. 오늘날 일러스트레이션 등의 분야에 있어서 적절한 비유나 강조, 변화 등을 추구하는 수사적 표현의 사용은 신선한 느낌을 주어 쉽게 보는 이들과 친밀해질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한다. 이런 표현들은 항상 호기심을 가지고 새로움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심리를 충족시키고 일러스트레이션의 내용에 생기를 불어넣으며, 그로 인해 기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즉, 시각적 이미지와 그것에 상응하는 언어적 해석을 통해서 그 본질적인 의미를 새롭게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전통적 언어에서의 수사학과 시각언어에서의 수사적 표현법의 분류가 일치하지는 않으나, 동일하게 커뮤니케이션 작용을 목적으로 한다는 차원에서 수사학적 의미작용이 현대 일러스트레이션에 있어서 어떠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고, 또 그 시각적 효과는 어떠한지를 조사하여 그 활용가능성을 알아보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