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Native Pumpkins

한국 재래종 완숙호박의 품질 특성

  • Published : 2002.03.01

Abstract

The weight per pumpkin was usually 4∼8 kg, and that of 'Changnyung I', 'Changsu' and 'Hoengsung' were more than 10 kg. Pumpkins from 'Nonsan', 'Samcheok' and 'Yoju' were less than 2 kg. Pumpkin shapes were flat-round in 12 pumpkins including 'Boeun' pumpkin, round in 5 pumpkins including 'changnyung II'pumpkin and long-oval in others. The content of soluble solids was 14.4 。Brix in 'Samcheok' pumpkin and it was more than 12 。Brix in 'Hapcheon' and 'Imsil' pumpkins. 'L'values in fruit flesh were lunged from 60 to 80. But 'a' and 'b' value was affected by pumpkin varieties. Soluble solids in pumpkin juice were 5.00∼9.90 。Brix. It was the highest such as 9.90 。Brix in juice from 'Jeju I ' pumpkin. Yields of pumpkin juice were 53.0∼68.0% in crude type and 48.8∼61.4% in clean type. The yield of juice was the highest in 'Yangku' pumpkin. Color acceptability of juice was the highest in 'Uljin' pumpkin.

전국에서 수집한 완숙과 호박의 중량은 대부분 4~8kg이었으며, '창녕 I', '횡성' 및 '장수' 품종은 과육의 중량이 10 kg 이상으로 비교적 크고 논산, 여주 및 삼척 지역에서 수집된 호박은 중량 2kg 이하로 작았다. 호박의 형태는 '보은'을 비롯한 12개 수집종이 편원형을, '탕녕II'를 비롯한 5개 수집종이 원형을, 나머지는 장타원형이었다. 가용성 고형물은 '삼척' 호박이 14.4 。Brix로 가장 높았으며, '합천'과 '임실'도 12 。Brix 이상으로 가용성 고형물이 높은 편이었다. 과육의 L값은 60~80사이로 유사하였으나, 'a','b' 값은 수집종간 차이가 있었다. 호박주스의 가용성 고형물은 5.00~9.90 。Brix를 나타내었으며 '제주I ' 품종의 가용성 고형물이 가장 높았다. 호박주스의 수율은 혼탁형 주스 53.0~68.0%, 청징형 주스 48.8~61.4%였으며 '양구'가 가장 높았다. 호박주스의 색상에 대한 기호도는 '울진'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Keywords

References

  1. 안희수 (1986) 가지, 오이, 호박의 영양과 조리법. 식품과 영양, 18, 7-38
  2. Robinson, R.W. and Decker-Watter, D.S. (1997) Cucurbits. P71-83. CAB International, N.Y.
  3. Sharma, B.R., Saimbhi, N.S., Bawa, A.S. and Shukla, F.C. (1979) Varietal variation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ummer squash. Incian J. Agri. Sci., 49, 30-34
  4. Chung, H.D., Youn, S.J. (1998) Chemical Composition and Quality Evaluation of Ripe Fruit of the Kotean Native Squash (Cucurbita moschata). J. Kor. Hort. Sci., 39, 510-516
  5. 조규성 (1997) 미숙호박과 완숙호박의 화학성분. 한국식품과학회지, 29, 657-662
  6. 박용곤, 차환수, 박미원, 강윤한, 석호문(1997) 늙은호박의 부위별 화학성분.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6, 639-646
  7. 황혜정 (1999) 건조에 따른 한국산 호박의 carotenoid 색소 변화. 산업식품공학회지, 3, 214-219
  8. 박용곤, 강윤한, 이병우, 석호문 (1997) 저장중 호박분말의 카로테노이드 색소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6, 32-36
  9. 박복희, 김현아, 박영희, 오봉윤 (1998) 가열 및 저장조건에 따른 호박즙의 이화학적 성분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7, 1-9
  10. 한명주, 이영경 (1993) 늙은 호박을 함유한 요구르트의 개발. 한국식품위생학회지, 8, 63-68
  11. 박영희 (1995) 호박꿀차의 개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4, 625-630
  12. 박민정, 전영수, 한지숙 (2001) 갓김치의 녹차 및 늙은 호박분말 첨가에 따른 발효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0, 215-221
  13. 정용진 (2001)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늙은 호박 추출조건의 모니터링.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0, 466-470
  14. 김해동, 윤선주, 정희돈 (1994) 배추속잎의 황색색소의 분리 및 맛과의 관계. 한국원예학회지, 35, 525-533
  15. 박세원, 박용, 정혁 (1995) 색깔 측정에 의한 당근의 품질평가 방법 - 색채색차계를 이용한 카로티노이드 함량의 추정. 한국원예학회지, 36, 481-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