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the Seismic Safely of Concrete Gravity Dams

콘크리트 중력식 댐의 내진 안전성 평가

  • Published : 2002.02.01

Abstract

Recently, the seismic safety evaluation of concrete gravity dams is raised due to the damage or the failure of dams occurred by the 1995 Kobe earthquake, the 1999 Taiwan earthquake, etc. Failre of dam may incur loss of life and properties around the dam as well as damage to dam structure itself. Recently, there has been growing much concerns about 'earthquake-resistance' or 'seismic safety'of existing concrete gravity dams designed before current seismic design provisions were implemented. This research develops three evaluation levels for seismic safety of concrete gravity dams on the basis of the evaluation method of seismic safety of concrete gravity dams in U.S.A., Japan, Canada, and etc. level 1 is a preliminary evaluation which is for purpose f screening. Level 2 is a pseudo-static evaluation on the basis of the seismic intensity method. Finally, level 3 is a detail evaluation by the dynamic analysis. Evaluation results on existing concrete gravity dam on operation showed good seismic performance under the designed artificial earthquake.

최근 1995년 일본의 고베 및 1999년도에 터키와 대만 등지에서 일어난 강진으로 많은 사상자와 피해가 발생되었고 일본 및 대만의 경우 일부 댐의 피해가 발생되었다. 댐의 경우 지진 발생시 국부적인 구조물의 손상뿐만 아니라 주변 주거지역에 많은 인명피해를 유발하기 때문에 국내에서도 내진설계기준 강화 이전의 콘크리트 중력식 댐에 대한 내진 안전성 평가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일본 및 캐나다의 내진설계기준 및 안전성 평가기법을 분석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내진 안전성 평가 지침을 마련하였다. 평가단계는 제3단계로 구성하였다. 제1단계는 기초 문헌자료를 이용한 내진 안전성 평가 필요여부를 구분하는 예비평가단계이며 제2단계 평가는 진도법을 적용한 유사정적해석을 수행하여 성능기준 만족여부를 판단한다. 제3단계 평가는 제2단계를 만족하지 못하였을 경우 대상구조물에 동적해석을 적용하여 정밀한 평가를 수행한 후 성능기준을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운영중인 콘크리트 중력식 댐을 선정하여 본 평가 방법을 적용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USCOLD, Guidelines for Selecting Seismic Parameters for Dam Projects, 1985.
  2. 국립방재연구소, “내진설계 제도 및 기준에 관한 연구 (II)”, 보고서, 행정자치부, 1998.
  3. 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소, “댐 내진 안정성에 관한 기초 연구”, 보고서, 수자원공사, 1997.
  4. 시설안전기술공단, 한국지진공학회, “기존시설물에 대한 내진성 평가기법 개발 연구보고서”, 보고서, 건설교통부, 2000. 12.
  5. 건설교통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내진설계기준연구(I)”, 보고서, 건설교통부, 1996.
  6. 日本建設省 河川局, 建設省河川砂防技術基準(案)同解說.設計編(I), 1997.
  7. 日本建設省 土木硏究所, ダム構造硏究室, “コンクリ〡ドダムに作用する地震時動水壓に關する實驗的檢討”, 報告書, 日本建設省, 1991.
  8. 농지개량사업계획설계기준(콘크리트댐편), 농림수산부, 1989.
  9. US Army Crops of Engineers, Gravity Dam Design EM1110-2-2200, 1995.
  10. Canadian Electrical Association, Safety Assessment of Existing Dams for Earthquake Conditions-Vol. C-4, Seismic Analysis of Concrete Dams, CEA, 1990.
  11. 댐 시설 기준, 건설교통부, 1993.
  12. 건설교통부, 한국지진공학회, “내진설계기준연구(II)”, 보고서, 건설교통부, 1997.
  13. Chavez, J. W. and Fenves, G. L., “Earthquake analysis and response of concrete gravity dams including base sliding,” UCB/EERC-97/07, 1993. 12.
  14. Chopra, A. K., Corns, C. F., Schrader, E. K., and Tarbox, G. S., Advanced Dam Engineering for Design, Concstruction and Rehabilitation, Van NOSTRAND REINHOLD.
  15.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건설교통부, 1999.
  16. 국립방재연구소 “지진에 대비한 내진설계”, 보고서, 행정자치부, 1998.
  17. 소진호, 김용곤, 정영수, “콘크리트 중력식댐의 내진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2000년도 가을학회 논문집, 한국콘크리트학회, 제12권, 제2호, 2000, pp. 325-330.
  18. Wolf, J. P., Dynamics Soil-Structure Interaction, Prentice-Hall Inc, 1985.
  19. Wepf, D. H., Wolf, J. P., and Backmann, H., “Hydrodynamic-stiffness matrix based on boundary elements for time-domain dam-reservoir-soil analysis,” Earthquake Engineering and Structural Dynamics, Vol. 16, 1988.
  20. Kim, J. K., “Application of the Boundary Element Method to Elastic Wave Scattering Problems,” Ph.D. Thesis,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Troy, NY, 1990.
  21. 양신추, 윤정방, “지반-구조물 상호 작용 해석을 위한 동적무한 요소”,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11권, 제3호, 1999, pp. 47-58.
  22. 이지호, “콘크리트 댐의 비선형 지진해석에서의 유한요소망 영향”, 한국콘크리트학회 논문집, 제13권, 2001. 12.

Cited by

  1. Seismic Fragility Evaluation of Retaining Wall by 2D Finite Element Analysis vol.9, pp.3, 2018, https://doi.org/10.11004/kosacs.2018.9.3.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