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보화강암내 함우라늄 광물의 산출특징과 존재형태의 중요성

Characteristics of Uraniferous Minerals in Daebo Granite and Significance of Mineral Species

  • 발행 : 2002.03.01

초록

지하수 중 우라늄이 높은 농도로 포함되어 있는 대보화강암 지역의 대수층구간에서 회수된 시추 코아에서 우라늄광물의 산출과 존재형태를 연구하였다. 우라늄광물은 일차적 기원으로 산출되며, 저어콘, 모나자이트, 제노타임 등과 같은 부성분 광물 내에 함유되는데 대부분 미량성분이나 포획물로 들어있다. 우라늄 광물은 $1~2mu$m 이하의 미림질의 결정으로 산출되므로 후방산란 전자영상(BSE)으로서도 구분이 매우 어렵다. 우라늄 광물을 포함하는 부성분 광물에서 이들이 빠져나간 용해동공이나 용해조직이 흔하게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이들은 부분적으로 지하수로 용해되어 빠져나간 것으로 판단된다. 모암내의 우라늄함량과 지하수중 우라늄의 함량이 서로 별다른 관련성을 보이지 않는 사실은 우라늄광물이 용해될 수 있는 수리화학적 환경 외에도 우라늄 광물의 산출특징과 존재형태도 중요한 요소임을 지시해 준다.

A mineralogical study was made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uranium content in groundwater and rock chemistry using core rocks recovered from the drilling holes for wells in the Daebo Granite areas. Uraniferous minerals are of primary origin and occur as inclusions in accessory minerals such as zircon, monazite, and xenotime. Since the uraniferous minerals are very small to be 1 ~ 2 $\mu$m in siz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ir mineralogical species precisely. The frequent presence of dissolution cavities or dissolved textures in the accessory minerals suggests that uraniferous minerals dissolved partially and contributed to the groundwater chemistry. Because there is no clear relationship between host rocks and groundwater for uranium concentration,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uraniferous minerals, together with aqueous geochemical conditions favorable for uranium dissolution, could play important roles in groundwaster chemistry.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환연구원(1999) 지하수 중 방사성물질 함유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자원연구소. 338p.
  2. 국립환경연구원(2000) 지하수 중 방사성 물질 함유실태에 관한 조사연구(2). 한국자원연구소. 323p.
  3. 김건영, 고용권, 김천수, 배대석, 박맹언 (2000) 유성지역 지열수의 지구화학적 특성연구. 지하수환경학회지, 7, 32-46.
  4. 나춘기, 정재일(2000) 신보활석광산 주변에 형성된 우라늄 이상치가 지표수계 환경에 미치는 영향. 자원환경지질학회지, 33, 261-271.
  5. 박맹언, 김근수 (1998) 계명산층 페그마타이트에 수반되는 우라늄, 토륨광상의 지구화학적 특성. 자원 환경지질학회지, 31, 365-374.
  6. 박중권, 오천혁, 최수천 (1990) 우라늄 광상연구(우라늄 고함유 화강암지역 1년차). KR-90-213-2. 한국자원연구소. 87p.
  7. 윤석규(1984) 대전서남지역에 있어서의 옥천대 우라늄광상에 대한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연구. 광산지질학회지, 17, 289-298.
  8. 이대성, 윤석규, 이종혁, 김정택 (1983) 옥천대 우라늄광층의 구조규제 및 지화학적 연구. 한국과학재단 연구보고서 (미발간). 146p.
  9. 이동진, 상기남, 이성록 (1982) 흑연질 점판암내 우라늄 및 조성광물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 동력자원 연구소, 조사연구보고, 13, 167-181.
  10. 이동진(1984) 옥천층군에 부존하는 우라늄광석에 대한 광물학적 및 성인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75.
  11. 이동진(1986) 옥천계 흑색슬레이트내 부존하는 저품위 우라늄광석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 광산지질학회지, 19, 133-146.
  12. 이민성(1978) 옥천계 함우라늄 지층 주변에 관입분포하는 화강암류의 지구화학. 지질학회지, 14, 113-119.
  13. 이민성, 김상욱 (1985) 옥천계 함우라늄 탄질암중의 우라늄의 존재상태와 광물종. 광산지질학회지, 18, 135-138.
  14. 정기영, 이석훈 (2001) 옥천대 탄질 흑색점판암내 몰리브덴의 존재형태. 한국광물학회지, 14, 52-57.
  15. 한정희, 박계헌 (1996) 대전지역 지하수에 함유된 우라늄 및 라돈의 함량. 자원환경지질학회지, 29, 589-595.
  16. 환경부 (1999) 먹는샘물 관리시스템구축연구(II). 한국자원연구소. 418p.
  17. 환경부(2000) 먹는 샘물 관리시스템구축연구(III). 한국자원연구소. 273p.
  18. Bums, p.e. and Finch, R. (eds.), (1999) Uranium:Mineralogy, Geochemistry and the Environment. Reviews in Mineralogy, Vol. 38, Miner. Soc.America, Washington, 679p.
  19. Dahlkamp, FJ. (1993) Uranium Ore Deposits. Springer-Verlag, New York. 460p.
  20. Finch, R. and Murakami, T. (1999) Systematics and Paragenesis of Uranium Minerals. In: Bums, P. C. and Finch, R. (eds.), Uranium: Mineralogy, Geochemistry and the Environment. Reviews in Mineralogy, Vol. 38, Miner. Soc. America, 91-179.
  21. Gaines, R.V., Skinner, H.C.W., Foord, E.E., Mason, B., Rosenzweig, A., King, V.T., and Dowty, E. (1997) Dana's New Mineralogy, 8th Ed. Wiley and Sons, New York, 1819p.
  22. Hansley, P.L. and Fitzpatrick, J.J. (1989) Compositional and crystallographic data on REE-bearing coffinite from the Grants Uranium region, northwestern New Mexico. Am. Mineral., 74, 263-270.
  23. Kim, lH. (1989) Geochemistry and genesis of the Guryongsan(Ogcheon) uraniferous black slates.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22, 35-63.
  24. Langmuir, D. (1978) Uranium solution-mineral equilibria at low temperatures with applications to sedimentary ore deposits. Geochem. Cosmochim. Acta, 42, 547-569.
  25. Langmuir, D. (1997) Aqueous Environmental Geochemistry. Prentice-Hall. New Jersey. 600p.
  26. Mandarino, J. (1999) Fleischer's Glossary of Mineral Species. Mineralogical Record, Tucson, Arizona.
  27. Murphy, W.M. and Shock, E.L. (1999) Environmental aqueous geochmistry of actinides. In: Burns, P.C. and Finch, R. (eds.), Uranium: Mineralogy, Geochemistry and the Environment. Reviews in Mineralogy, Vol. 38, Miner. Soc. America, 221-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