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중부 칼리만탄 타란지역에서의 물리탐사

Geophysical Survey in the Taran Area on the Central Kalimantan, Indonesia

  • 발행 : 2002.02.01

초록

천열수 광상 함금석영맥이 도처에 발달하고 있는 인도네시아 중부 칼리만탄 타란 지역에서 천부 지질정보 획득(지질구조 및 광상분포 확인)을 목적으로 1999년 9월30일부터 10월27일 가지 28일간의 일정으로 자연전위탐사, In-suite 대자율 측정 및 전기 비저항 탐사법를 수행하였다. 자연전위탐사/in-suite 대자율 측정은 10m$\times$250m 간격으로 5개 측선에서, 쌍극자 탐사는 전극간격 ${\alpha}$=30 m, 전극배열 n=7으로 1개 측선에서 행하였다. 탐사결과. 한금 석영맥의 분포지역은 유화광물을 많이 포함하는(은, 아연 및 연의 광화작용)형태, 유화광물을 적게 포함하는(금 광화작용)형태 지역으로 분리 할 수 있다. 측선5에서 낮은 비저항값을 보여주는 구간은 파쇄대, 유화광물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구간을 의미한다.

There are many typical epithermal deposits scattering in the Taran of central Kalimantan. Indonesia. To get the shallow geological information, we carried out the geophysical exploration: spontaneous potential survey, in-suite magnetic susceptibility measurement and relistivity survey method in this area for a few weeks from September 30th to October 27th in 1997. SP survey (Fluke 27 multimeter)/magnetic susceptibility (EK -7 meter) measurement was carried out with a 250m$\times$10m lattice net in N45$^{\circ}$W direction. The dipole-dipole array resistivity survey was conducted with an electrode spacing of ${\alpha}$=30 m and electrode separation index n=7 at the line 5. The result shows that was the gold bearing quartz vein area can be divided into two type lone: low sulfidation type and high sulfidation type zone. The low resistivity value in the survey line 5 indicated a fracture Bone associated with the high sulfidation zone.

키워드

참고문헌

  1. DIPRO ver. 2.0 사용자 안내서 김정호
  2. 산업응용물리탐사 장광택;조진동;김영달
  3. KOICA 인도네시아 중부 칼리만탄 지질탐사 사업(최종년도 종합보고서) 전희영;김인준;송교영;김복철;김정찬;조등률;이승렬;류충렬;이병주;이재호;이한영;이사로;이진수;조진동;박인화;문건주;Koswara Y;Bambang S.;Sahat S.;Eko P.;Syahya S.;Iwan N.;Danny Z.H.;Budhi P.;Zulkifli B.; Isnurozi M.;Tuan K.; Aris M.;Yulian T.;Rachmat E.;Chan H.
  4. The report on geological survey of central Kalimantan JICA
  5. Landsat-Data Analysis Report on Geological Survey of Central Kalimantan Phase ⅠandⅡ Ministry of Mines Indonesia;GSI;JICA-MMAJ
  6. Landsat-Data analysis Report on Geological Survey of Central Kalimantan Phase Ⅱ1-2 Phase Ⅲ1-2 Ministry of Mines Indonesia;GSI;JICA-MMA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