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 투과 레이다 조사를 통한 부여 지역 금강변의 충적 대수층 내부 불균질성 파악

Delineation of internal heterogeneities of Geum River point bar deposits in Buyeo area using GPR Data

  • 이철우 (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과) ;
  • 김형수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소) ;
  • 이경주 (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과)
  • Rhee, Chul-Woo (Dep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Chungbuk Naotional University) ;
  • Kim, Hyoung-Soo (Geology & Groundwater Team, Water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
  • Lee, Kyung-Joo (Dep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Chungbuk Nao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21200

초록

지하수 인공 함양, 강변 여과 취수 방식 등 충적층 지하수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서는 충적 대수층의 내부 구조 파악이 중요하다. 국내 충적층의 대부분은 하천 둔치 주변에서 하도의 수평 이동에 의해 형성된 경사 지층으로, 니질 박층이 협재함에 따라 충적 대수층의 내부 불균질성이 높아 인접한 취수 공간에서도 지하수괴의 이동 특성 및 화학적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불균질성을 밝히기 위하여 지하 투과 레이다 조사를 통한 부여 지역 금강변의 충적층에 대한 층서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부여 군수리 지역의 충적층은 크게 상하 두 개의 지층으로 구분되며, 상부 수평층은 범람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수직 불균질성이 크고 수평 불균질성은 낮은 반면, 하부 경사층은 수평, 수직 불균질성이 모두 크다. 특히 하부 경사층 내에 발달한 하도곡은 인접한 충적층과 분리되어 이 층내의 수괴 이동은 제한적일 것이며, 지하수질의 특성 또한 크게 다를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충적 대수층에 대한 물리 화학적 특성의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 지구물리학적 조사 방법을 통한 층서퇴적학적 해석이 선행되어야 함을 보며 준다.

The alluvial deposits along meandering rivers can be used as an artificial aquifer for infiltration of river waters. Internal heterogeneity of the alluvial deposits is a prerequisite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lluvial groundwater because vortical and lateral movement of alluvial ground water depends on the internal heterogeneity The internal heterogeneity due to variations in channel behavior can be delineated using GPR survey, GPR profiles for the point bar deposits near Buyeo county reveals two different stratigraphic units: the lower inclined heterogeneous strata and the upper horizontally stratified strata. The upper unit is largely indicative of vertical accumulation by overbank floods within a floodplain, whereas the lower one represents typical point bar deposits formed by lateral accretion. The stratigraphic variation in the heterogeneity shows that GPR survey is a useful and necessary investigation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alluvial ground water.

키워드

참고문헌

  1. 구룡-부여간 도로확장 및 포장공사 토질조사 보고서 건설교통부
  2. 금강권역 광역 지하수조사 연구, WRRI-GG-02-1 김형수;백건하;원이정
  3. 정밀 토양도 (부여) 농업진흥청
  4. 한국의 충적평야 조화룡
  5. Ground penetrating radar workshop notes Annan, A.P.
  6. Groundwater v.29 Application of ground-penetrating-radar methods in hydrogeologic studies Berea, M. Jr.;Haeni, F.P.
  7.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v.51 Ground-penetrating radar as a tool for mapping the phreatic surface, bedrock profile, and alluvial stratigraphy in the Sabie River, Kruger National Park Birkhead, A.L.;Heritage, G.L.;White, H.;van Niekerk, A.W.
  8. AAPG Buletin v.85 Detailed internal architecture of a fluvial channel sandstone determined from outcrop, cores, and 3-D ground-penetrating radar: Example from the middle Cretaceous Ferron Sandstone, east-central Utah Corbeanu, R.M.;Soegaard, K.;Szerbiak, R.B.;Thurmond, J.B.;McMechan, G.A.;Wang, D.;Snelgrove, S.;Forster, C.B.;Menitove, A.
  9. Spec. Publs Int. Ass. Sediment. v.28 Sedimentary facies from ground-penetrating radar surveys of the modem, upper Burdekin River of north Queensland, Australia: consequences of extreme discharge fluctuations Fielding, C.R.;Alexander, J.;McDonald, R.
  10. Alluvial systemics;River Basin Sediment Systems: archives of environmental change Lewin;Maddy, D.(et aI.)(ed.)
  11. Sedimentology v.48 Internal structure of a trough blowout, determined from migrated ground-penetrating radar profiles Neal, A.;Roberts, C.L.
  12. SEPM Concepts in Sedimentology and Paleontology v.3 Architectural controls on the recovery of hydrocarbons from sandstone reservoirs;The Three-Diemensional Facies Architecture of Terrigeneous Clastic Sediments and Its Implications for Hydrocarbon Discovery and Recovery Tyler, N.;Finley, R.J.;Miall, A.D.(ed.);Tyler, N.(ed.)